충남 국립공주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은 규모가 매우 넓어서 좋았습니다. 박물관 건물 앞에는 무령왕릉 무덤을 지키는 상상의 동물인 진묘수가 박물관을 지키는 듯 상징적으로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로비앞에는 어린이들이 국립공주박물관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진묘수와 떠나는 국립공주박물관'의 영상이 상영되고 있었습니다.
공간이 넓어서 멀리서도 볼 수 있도록 만든 대형 영상 화면과 좌석들이 인상적이였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은 1층과 2층으로 나뉘어져 유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1층 웅진백제실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주요 유물들을 전시한 공간입니다.

웅진백제실을 관람하기 전에 팁 하나를 소개해 드리자면, 전시를 보다 사전 지식으로 익히고 관람할 수 있도록 만든 영상 상영실이 있습니다. 영상상영실은 웅진 백제실 바로 옆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곳에서는 무령왕릉의 생성과 과정 그리고 발견과 출토의 전 과정에 대해서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재미있게 설명을 해주어 매우 좋습니다. 영상상영실은 미리 예약을 하고 난 후 볼 수 있습니다.

웅진 백제실 가장 앞쪽에 있는 진묘수입니다.
진묘수는 무령왕릉의 널길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진묘수를 무덤에 넣는 전통은 중국 한대로부터 유행하였다고 합니다.
진묘수는 무덤을 지키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신선세계로 인도하는 승선의 역할을 합니다.

입구에는 무령왕의 기록이 담긴 삼국사기의 인용 글귀가 흉상과 함께 나와 있습니다.
무령왕은 인자하고 너그러워서 백성이 그를 잘 따랐다고 기록이 되어져 있습니다.

왕과 왕비의 무덤속에서 발견한 목관입니다. 나무로 만들어진 관을 눈앞에서 보니, 마치 무덤 안에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왕과 왕비의 귀걸이입니다. 왕도 귀걸이를 했다니 좀 놀라웠습니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금 귀걸이를 보며 백제시대의 아름다움이 느껴졌습니다.
순도 높은 금을 사용하여 만든 금귀걸이라고 합니다.

위사진은 왕과 왕비의 청동거울과 팔찌 등의 전시를 한 공간입니다. 청동거울은 왕의 발치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신선 또는 사냥꾼이 그려져 있고, 짐승들과 신수 그리고 글자들이 쓰여져 있습니다. 섬세하고도 정교한 백제시대의 기술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은잔은 왕비의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받침과 잔, 그리고 뚜껑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은잔은 무늬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백제시대가 꿈꾸었던 이상세계로 추청됩니다.

금귀걸이는 왕비의 관꾸미개 부근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길이는 8.8cm로 금귀걸이 한쌍이며 금의 함유량은 97~99.7%입니다.
금사슬로 연결한 아름답고 우아하며 연결고리들이 특징입니다.

1층 을 관람하고 엘레베이터를 타고 2층으로 올라갔습니다.
2층 충청남도 역사문화실은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충남의 선사, 고대, 중근세 문화를 보여주는 전시공간입니다.

2층에서 내려 창문으로 내려다 보니 수호의 정원과 옥외 전시가 한눈에 내려다 보였습니다.
수호의 정원은 지킴의 뜻을 품고 평온함을 주는 공간입니다.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14점을 포함한 석조 문화유산 30점이 이 곳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석수12점이 자리잡은 석수의 숲과 기왓집의 지붕을 닮은 장명등 9점이 있는 이 곳은 악한 기운을 쫓아내고 수호하는 의미를 닮고 있습니다.

2층 충청남도 역사문화실은 고대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방대하고 수준 있는 시대별 문화와 역사에 대한 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백제의 토기들이 전시되어 있는데 매우 인상적이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와 역사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불교문화입니다. 그 중 부처의 조각상은 세계가 놀랄 정도로 정교하고 섬세하며 예술적인 가치가 뛰어납니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들 역시 너무나도 색상이 예쁘고 디자인도 아름다워 눈길이 갔습니다. 이 장신구들은 지금 시대에 착용한다 할지라도 손색이 없이 아름다울 것입니다.
방대하고 찬란한 문화와 역사의 모습들이 담겨져 있는 국립공주 박물관이라 한 편의 취재글에 담기에는 너무나 아쉬운 면이 많으니, 공주 여행을 가시는 분들은 직접 방문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이상으로 국립공주박물관 취재기를 마칩니다.
[국립공주박물관]
○ 소재지- 충남 공주시 웅진동 360
○ 주차장- 넓은 전용주차장
○ 운영시간- 화요일~일요일 오전 9시 ~ 오후 6시
○ 휴무일- 매주 월요일 정기휴무, 1월 1일, 설날당일, 추석당일
○ 입장료 - 무료
* 취재일- 2025년 9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