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리포터 핫포터입니다.
오늘은 지난 주말 가족과 함께 다녀온 국립부여박물관을 소개해 드립니다.

▲ 국립부여박물관 입구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예술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전국 각지와 세계 여러 나라의 외국인들까지 많은 이들의 발걸음을 부르고 있는 곳이랍니다.

국립부여박물관 입구에 들어서면 안내데스크를 지난 중앙에 석조 유물이 있습니다. 창으로 하늘이 보이는 천장에서는 빛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천장의 문이 닫히면서 빛으로 쏘는 레이져 영상을 하루에 7회 상영합니다.

신기술 융합으로 만든 영상의 집중력이 압도적이였습니다. 어린이들과 학생들이 많이 왔는데, 너무 신기해 하며 좋아하고 재미있어 하더라고요.

상영은 '백제금동대향로'와 '백제명품, 백제문양전' 이 시간대별로 번갈아가며 상영되고 있습니다. 아래의 영상 상영 시간을 참고하세요!

국립부여박물관은 '부여의 선사와 고대문화', '사비백제와 벡제금동대향로' , '백제의 불교문화' , '기증으로 빛난 문화유산사랑' 으로,
총 4개의 전시실로 되어 있습니다.

제 1전시실 부여의 선사와 고대문화실에는 충남 청동기시대부터 마한까지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마한의 문화는 백제를 세우는 데 밑받침이 되어, 백제의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제 2전시실은 사비백제와 백제금동대향로가 있습니다.
백제 사비시기의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사비 천도와 왕경문화', '능산리 사찰과 백제금동대향로', '돌과 나무에 새겨진 백제 문화'의 세가지의 주제로 전시가 되어 있습니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무엇보다 '백제금동대향로' 였습니다.
따로 한 공간에 단독적으로 전시가 되어 있었는데, 많은 분들이 모여들어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멋진 백제의 유물을 감상했습니다.

▲ 백제금동대향로
저는 백제금동대향로를 늘 사진으로만 보다가, 이 날 처음으로 실제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요,
심오한 디자인과 섬세한 디테일, 그리고 황금색의 빛이 반짝 반짝거려 정말이지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웠습니다.

백제금동대항로는 부여 능산리 사찰의 공방터에서 발견이 되었습니다.
뚜껑에는 하늘에서 날아온 봉황이 정상에 앉아 있고, 다섯 방향으로 쌓아올린 봉우리에는 여러 인물과 현실세계 동식물, 상상의 동물 등이 묘사가 되어 있습니다.
향로의 몸체는 연꽃 봉오리처럼 표현하고, 받침은 용이 위로 날아오르는 모습입니다. 이는 고대 전통적이 세계관과 이상세계를 나타내는 작품이라고 합니다.

▲ 석조사면불상
제 3전시실은 백제의 불교문화실입니다.
백제인의 우수한 공예 제작 기술을 보여 주는 '불상'과 세계적인 건축 감각을 자랑했던 '사찰'을 주제로 전시를 구성하였습니다.

▲ 마애불과 서산마애삼존불
백제의 불교 문화를 볼 수 있는 유명한 불상들을 살펴보면, 백제의 뛰어난 공예 기술과 백제 장인의 예술혼을 감상 할 수가 있습니다.
▲금동광배
금동광배의 섬세하고 정교한 모습과 아름다운 황금빛깔은 백제의 수준있는 예술을 보여주었습니다.

▲ 금동관음보살입상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머리에 부처가 새겨진 관을 쓴 관음보살로, 오른손을 어깨 높이로 올려 작은 보주를 잡고 있는 자세가 독특하며,
둥글고 앳되 보이는 얼굴에 두 눈을 지그시 감고 있는 모습입니다. 꼭 다문 입가에는 부드러운 미소를 띄고 있습니다.
신체의 굴곡을 드러내는 양감이 자연스러우면서 우아하고 세련되어, 이 역시 백제 시대 조각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 주는 유물입니다.

제 4전시실에는 박만식 교수를 비롯한 50여명의 기증자분들의 뜻을 모아 유물 820점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4전시실에는 특별전시로 '산화 코발트, 기증품에 스며든 푸른 빛' 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푸른 빛깔이 무더위를 식혀주는 듯 시원해보이고 아름다워 보였습니다.
소수의 사진으로 담기에는 너무나도 부족한 국립부여박물관입니다. 교욱상으로도 너무 좋으니 자녀분들과 꼭 한번 가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국립부여박물관]
○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동남리 산 18-2)
○ 문의 전화번호 : 041-833-8562
○ 입장료 : 무료
○ 주차장 : 보유
○ 운영시간 : 화~ 일요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월요일 정기휴무, 설날 및 추석 당일 휴무, 매년 1월 1일 휴무
* 취재일 : 2025년 8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