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문화, 역사

천안독립기념관

나라를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한 독립운동과 광복 및 정부 수립 등의 자료를 전시하여 민족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세운 독립기념관

  • 위치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화리 230-1
  • 등록일자
    2025.08.08(금) 23:40:54
  • 담당자
    지금 즉시 출발 (rock2park@hotmail.com)
  • 충남 천안시 목천에 독립기념관이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국민 성금을 기반으로 1987년에 설립되었으며, 5천 년에 이르는 한민족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에 관한 유물과 자료 등을 전시하여, 민족정신을 북돋우고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겨레의 탑


    겨레의 탑

    ▲ 겨레의 탑


    독립기념관을 들어서면 제일 먼저 높은 탑을 만나게 됩니다.

    대지를 박차고 하늘로 날아오르는 새의 날개 혹은 두 손을 모아 기도하는 모습을 한 이 탑은 겨레의 탑으로, 높이 51.3m에 이르는 독립기념관의 상징이며,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영원불멸하게 웅비하는 한민족의 기상과 자주, 독립, 통일, 번영의 의지를 표현하였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지도

    ▲ 대한민국 지도


    탑의 바닥에는 우리나라 지도가 새겨져 있고, 정면에 겨레의 집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겨레의 집을 향해 조금 올라가다 보면 우측에 태극기가 휘날리고 있습니다.


    광개토대왕릉비


    태극기

    ▲ 태극기


    광복절 8.15를 의미하는 815개의 태극기가 바람에 휘날리고 있고, 그 뒤에 광개토대왕릉비가 서 있습니다.


    광개토대왕릉비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세워져 있지만, 지리적으로 관람이 수월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주변국의 역사 왜곡을 우려해 진품과 동일하게 제작하여 이곳에 세웠는데, 높이 6.39m에 무게가 38톤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돌에 1802자의 비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겨레의 집


    겨레의 집

    ▲ 겨레의 집


    광복절 경축식 등이 거행되는 국가적 기념 공간에 세워져 있는 겨레의 집은 독립기념관의 상징 건물로, 길이 126m, 폭 68m의 축구장 규모에 15층 높이의 기와집으로 짓고 40개의 기둥이 떠받치고 있습니다.


    불굴의 한국인상


    불굴의 한국인상

    ▲ 불굴의 한국인상


    겨레의 집에 걸려있는 독립기념관 편액 글씨는 일중 김충현(1921~2006) 선생이 썼으며, 건물 내부에는 불굴의 한국인상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불굴의 한국인상

    ▲ 불굴의 한국인상


    독립기념관의 상징적 조각으로 불굴의 독립 정신과 강인한 한국인상을 표현한 작품으로,


    불굴의 한국인상

    ▲ 불굴의 한국인상


    우리나라 8도의 전 민족을 의미하는 8명의 성인군상과 함께 어린 아이를 어깨에 올려 민족의 미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달력 삽화


    대한민국 임시정부 달력 삽화

    ▲ 대한민국 임시정부 달력 삽화


    겨레의 집 좌측에 걸려있는 대형 그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달력에 삽화되었던 그림으로,

    1920년을 독립전쟁의 해로 선포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군을 이끌고 독립문으로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한국광복군 서명 태극기


    한국 광복군 서명 태극기

    ▲ 한국 광복군 서명 태극기


    맞은편에는 광복 직후 중국 안후이성 푸양에 주둔하던 한국광복군 제3지대 제2구대 대원들이 광복의 소감과 환국 이후의 소망을 기록한 태극기가 걸려있습니다.


    전시관


    전시관

    ▲ 전시관


    겨레의 집 뒤에 6개의 전시관이 자리하고 있는데,

    겨레의 뿌리란 이름의 제1관은 선사시대부터 청동기 고조선에 이어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이 주를 이루고,

    제2관은 겨레의 시련으로, 개화기와 일제의 침략 및 일제강점기 일본의 통치 등을 다루고 있으며,

    제3관 겨레의 함성은 3.1운동과 독립운동 등을 전시,

    제4관 평화누리는 대한민국의 번영과 발전, 통일 대한민국, 인류 평화 등에 대한 염원 담아 그림으로 표현하는 체험관이며,

    제5관 나라 되찾가는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을 주제로 전시하고,

    제6관 새로운 나라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투쟁과 활동 그리고 광복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 재건한 대한민국의 수립 과정 등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겨레의 시작

    ▲ 겨레의 시작


    제1관 겨레의 뿌리에는 선사시대부터 청동기 고조선에 이어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 왕조의 대표적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고인돌

    ▲ 고인돌


    선사시대를 대표하는 고인돌이 전시되어 있고,


    기마무사상

    ▲ 기마무사상


    철의 나라에 걸맞게 철갑으로 무장한 말을 탄 가야 기마무사상(좌)과 무용총에서 보여주는 고구려인의 사냥 모습을 재현한 고구려 기마무사상(우)이 조성되었으며,


    백제 금동향로

    ▲ 백제 금동향로


    백제 무령왕릉 내벽으로 조성된 백제실에는 신이 내린 백제인의 기술로 만들에 금속 공예의 극치를 보여주는 금동 대향로가 전시되었고,


    당나라 신라방

    ▲ 당나라 신라방


    당나라에 진출한 신라인들이 집단 거주 지역을 형성하며 만든 신라방이 재현되어 있습니다.


    고려 팔만대장경

    ▲ 고려 팔만대장경


    그밖에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기 위해 고려 때 조성한 팔만대장경을 비롯해


    임진왜란과 거북선

    ▲ 임진왜란과 거북선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나라를 지키는데 크게 일조한 거북선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개화기

    ▲ 개화기

    산업혁명 이후 서양 열강들의 아시아 진출에 따라 조선도 개항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때 조선 내부는 서양의 제도와 기술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개화파와 외세의 침략을 물리치고 전통 질서를 지켜야 한다는 척사파로 분열하면서 극심한 혼란을 겪게 되었고,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을사늑약이라는 강압적 방법으로 조선을 식민지화합니다.


    무단통치

    ▲ 무단통치


    이후 일제는 조선총독부와 헌병경찰제 등을 통해 무단통치하였고,


    강제동원

    ▲ 강제 동원


    침략전쟁의 장기화로 병력과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군인, 군무원, 노무자 등의 명목으로 강제 동원하였으며, 특히 한국인 여성을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하는 반인륜적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대한독립선언문

    ▲ 대한독립선언문


    일제의 식민 지배에 대항하여 1919년 3.1운동이 발발하였는데, 이때 울려 퍼진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은 민중이 나라의 주인이자 독립운동의 주체임을 깨닫게 하였으며,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이 전개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독립만세운동

    ▲ 독립만세운동


    1919년 3.1운동은 서울, 평양, 진남포, 안주, 의주, 선천, 원상 등지에서 시작하여,


    만세운동

    ▲ 만세운동


    4월 말에 이르러 전국 218개 군에서 2백여만 명이 시위에 참여하였습니다.


    항일무장투쟁

    ▲ 항일무장투쟁


    이후 항일무장투쟁이 본격화하였으며,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정식 군대인 한국광복군이 1940년에 창설되었으며,


    한국광복군

    ▲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이 입었던 군복과 무기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광복

    ▲ 광복


    1945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하면서 마침내 독립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수립

    ▲ 대한민국 수립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 재건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가슴이 뭉클한 순간입니다.


    이상으로 천안 독립기념관 답사를 마칩니다.



    천안독립기념관

    ○ 주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 운영시간: 하절기(3월~10월) 입장시간: 09:30~17:00, 관람시간: 09:30~18:00

                    동절기(11월~2월) 입장시간: 09:30~16:00, 관람시간: 09:30~17:00

    ○ 정기휴일: 매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개관), 단 상설 전시관 외 야외 전시, 쉼터 등은 개방

    ○ 관람료 주차비로 대체

    ○ 전화: 041)560-0114

    ○ 주차: 소형(25인승 미만) 2천 원

                  대형(25인승 이상) 3천 원

                  감면: 1천 원(장애인, 경차, 하이브리드차, 저공해차, 병역이행 명가)

                면제: 국가유공자, 국가유공자 유족증 소지자, 의사자 유족 및 의상자(가족 포함)

     * 취재일자: 2025년 8월 7일


    지금 즉시 출발님의 다른 기사 보기 다른 기사 보기
    지금 즉시 출발님의 최근기사
    #천안, #독립기념관, #광개토대왕릉비
OPEN,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기사는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담당부서 : 대변인 디지털소통담당관
문의전화 : 041-635-2492

* 본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게재된 내용의 수정 또는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담당 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엑스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