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여행

소황사구를 찾아서

환경부 지정 생태경관보전지역
서해안에 형성된 해안사구

  • 위치
    충남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907
  • 등록일자
    2025.06.29(일) 11:49:30
  • 담당자
    앤 (hma0503@naver.com)
  • 환경부 지정 생태경관보전지역 소황사구를 찾아서



    이번 취재는 생태경관보존지역인 소황사구를 취재해봅니다.

    소황사구는 충남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해안에서부터 소황리해안까지 약 2.5km 해안에 형성된 해안사구입니다.

    출발은 독산리 해안에서부터 시작을 했습니다(서해안고속도로 - 무창포1.C -죽청리 -황교리 -> 독산해수욕장 - 소황사구 북단).


    독산리 해안선이 참 아름답습니다. 

    근처에 있는 섬은 독대섬입니다. 


    external_image

    ▲ 독산리 해안선


    소황사구는 환경부 지정 생태경관보전지역이며,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경관보호구역입니다. 

    이번 취재 경로는 독산해수욕장을 지나 서해를 따라 아래로 더 내려가 소황사구의 입구를 만납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소황사구의 입구 안내문


    소황사구는 서해안에 형성된 해안사구입니다.

    안내 리플렛을 참고해서 해안사구의 정의를 알아보았습니다.


    해안사구란?

    사구란 바람에 의해 모래가 이동하면서 쌓여 생긴 모래언덕을 의미하고, 그 중에서도 소황사구가 속한 해안사구는 자연재해로부터 배후지역을 보호할 뿐 아니라 내륙으로 소금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한다. 1단계 모래톱의 형성과 식물군락의 침입단계로 해풍으로 모래이동 사구지대 배후에 식물 출연하고 2단계는 모래퇴적으로 사구생성 시작되며 3단계는 2차사구지대 성장하고 1차사구지대 시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4단계는 2차사구지대 완성과 1차사구지대 성장이며 5단계는 2차사구지대 안정화, 그리고 1차사구지대 완성이다. 

     

    이제 소황사구를 만나기 위해 나무데크 오르막으로 올라가보겠습니다. 


    external_image

    ▲ 오르막에서 뒤돌아본 독산리 해안선


    external_image

    ▲ 오르막에 도착> 소황사구를 향한 숲길


    숲길로 좁은 길을 걸어가 보겠습니다.

    한 명씩 한 줄로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길입니다. 

    언덕길을 어느 정도 걸었다 싶었는데 내리막에는 데크 계단이 있습니다.

    나무 데크가 잘 놓여져 있어서 편안하게 사구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멀리 생태탐방 안내소인듯 보이는데 그곳까지 안전한 데크길로 가면 됩니다. 

    그래도 해안선을 걷고 싶을 때는 데크를 벗어나 서해의 해안 여행을 즐겨도 좋을듯 합니다. 


    external_image

     ▲ 소황사구의 모습 전경

     

    환경부 지정 생태경관보전지역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경관보호구역

    이밖에 충청남도는 서산·태안 가로림만 해역(해양생물 보호구역), 

    서천 갯벌(습지보호지역), 태안 신두리 사구(해양생태계 보호구역), 보령 소황사구(해양경관 보호구역)를 지정·관리하고 있습니다.

    서해안에 있는 해양보호구역으로 생물종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어 생태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보존의 가치가 높은 구역이기도 합니다.


    external_image

     ▲ 소황사구 해안선


    또한 이곳은 전투훈련이 있을 때는 위험해서 금지된 지역이기도 합니다. 

    다행히 제가 취재한 날은 공군의 사격훈련이 없던 날이라 조용하며 한적했던 날이었습니다.

    소황사구 통제보호구역은 1986년부터 공군의 전투기 사격훈련이 진행되는 위험한 지역으로 사격이 있을 때는 통제보호구역이라고 하니 참고해서 방문하시기를 바랍니다.

      external_image

    ▲ 소황사구 갯메꽃


    사진은 소황사구에서 볼 수 있는 갯메꽃입니다. 

    리플렛에 보니 이 외에 소황사구의 생태계 현황으로는 멸종 위기종이 서식하고 있는데요.

    포유류로는 너구리, 고라니 족제비 등 8종이며 조류로는 노랑부리백로, 매, 검은머리물떼새, 솔개, 큰 기러기 등 96종이 있다고 합니다.

    양서 파충류로는 표범장지뱀을 비롯하여 누룩뱀, 유혈목 등 8종이 있습니다.

     

    external_image

    ▲ 소황사구 생태경관 보전지역 안내문


    소황사구는 이렇듯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를 보호하기위해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2005년에 보전 지역으로 지정을 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external_image

    ▲ 소황리 데크 


    올해는 '2025년 가족과 함께하는 생물 다양성 탐사대회'가 열렸었네요. 

    소황사구 생태경관보전 지역을 대상으로 2025년 5월 1일 부터 6월 15일까지 금강유역환경청의 주최와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의 주관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이 탐사대회의 취지는 생물 다양성에 대해 쉽게 배우고 자연과 교감하며 즐길 수 있는 생태체험 기회를 넓히기 위해 가족 단위의 자율 탐사 참여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내년에 열리는 탐사대회의 기회에 참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취재는 귀중한 생태보전지역인 소황사구였습니다. 

     

     

    소황사구 

    ○ 주소: 충남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907

    ○ 홈페이지:  http://소황사구.kr 

    ○ 문의:  (041) 931-9990

    ○ 찾아오는 길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독산리)

       1. 서해안고속도로 -무창포1.C -죽청리 -황교리 - 소황사구 남단

       2. 서해안고속도로 - 무창포1.C -죽청리 -황교리 -> 독산해수욕장 - 소황사구 북단 

     ※ 취재일: 2025. 6. 26.


    앤님의 다른 기사 보기 다른 기사 보기
    앤님의 최근기사
    #서해생태탐방, #소황사구, #독대섬 근처, #독산리 소황사구, #생태경관보전지역
OPEN,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기사는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담당부서 : 대변인 디지털소통담당관
문의전화 : 041-635-2053

* 본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게재된 내용의 수정 또는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담당 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