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문화, 역사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위대한 정신을 느낄수 있는 계룡 한훈기념관

독립운동의 뜨거운 열정, 살아있는 역사의 발자취

  • 위치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정장리 273-2
  • 등록일자
    2025.06.27(금) 19:06:15
  • 담당자
    빌리브 (dlaledma@hanmail.net)
  • 6월 호국 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의 뜨거운 열정과 위대한 정신을 느낄 수 있는 곳인 계룡 한훈기념관에 다녀왔습니다.


    한훈기념관 외관 전경

    ▲ 한훈기념관 전경


    한훈기념관은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계룡대 1로 35에 위치해 있으며, 2021년 8월 15일 광복절에 개관을 하였습니다. 

    이는 독립운동가 한훈선생의 활동과 숭고한 희생정신과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위대한 정신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마련한 공간입니다. 


    한훈기념관 1


    한훈선생은 17세 때 의병에 참여하여 항일 운동을 시작했으며, 1913년 풍기에서 대한광복단을 조직했습니다. 

    한훈 선생님은 나라를 위해 한결같은 마음으로 한평생 독립운동을 하시다가 19년간이나 옥고를 치루셨습니다. 

    해방뒤에는 서울에서 광복단을 재건했지만, 1950년에 소천하셨습니다. 이후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습니다. 


    한훈기념관입구

    ▲ 한훈기념관 입구


    입구에 들어서니 안내 데스크에서 해설사님께서 반갑게 맞아 주시며 설명과 가이드를 해주셨습니다. 

    한훈 선생님과 부인되시는 유응두 여사님의 흉상이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시기에 너무 어려운 환경이다보니 두분께서 같이 지내신 시간은 그리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두 분 모두 나라를 위해 한평생 목숨바쳐 헌신하셨으니 그 고귀한 희생에  감사한 마음이 들고  숙연해 졌습니다. 

    두 분 흉상에서 훌륭하신 애국심과 강인한 독립정신이 느껴졌습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흉상의 모습

    ▲ 한훈선생님과 유응두 여사님의 흉상


    먼저 영상실에 들어가서 우리나라 독립운동과 한훈선생님에 관한 영상을 시청하였습니다.  

    영상은 길지는 않았지만 짧고도 임펙트가 있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한훈선생님에 대해서 핵심 전달이 잘 되었습니다.  


    한훈기념관 영상실

    ▲ 한훈기념관 영상실


    영상을 시청 한 후 해설사님의 안내에 따라 기념관을 한바퀴 돌게 되는데요, 

    한훈선생의 가계도와 활동에 대해서 전시와 안내가 잘 되어 있었고, 해설사님의 해박하신 지식이 더하여진 설명에

    한훈선생님과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그 뜨거운 열정과 고귀한 희생에 큰 감동을 받게 되었습니다.  

    친절하신 해설사님에게도 감사를 드렸습니다. 


    한훈기념관 내부전시 1


    한훈기념관은 신축이라 깨끗하고 깔끔하며 관리도 잘 되어 있어 쾌적한 분위기에 관람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전시 2


    한훈기념관은 현재 이벤트를 하고 있는데, 방문하시는 모든분들에게 폴라로이드 기념사진을 찍어서 드리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방문기념으로 좋은 추억이 될 것 같아 좋아 보였습니다. 


    우리나라의 훌륭하신 독립운동가분들과의 기념 사진이라니 찍지 않을 수 가 없었습니다. 

    옆에 헹거에는 독립투사 의상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가볍게 입은 옷 위에 걸쳐서 촬영하실 수 있습니다. 


    한훈기념관 기념사진 포토존

    ▲ 한훈기념관 포토존


    아래의 사진은 한훈 선생님의 옥중 투쟁을 가상으로 감옥을 재현하여 만든  공간입니다. 

    한훈 선생님과 우리나라를 위해 독립운동을 하시다가 옥중 투쟁을 하신 모든 분들이 잃게 좁고 차가운 곳에서 지내셨다니

    정말 마음이 아팠습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옥중투쟁 1


    한훈 선생님은 경성과 광주 그리고 전주와 대전, 신의주 등 여러 형무소에서 약 19년이란 세월을 보내셨습니다. 

    19년이라는 시간이 정말 길도고 긴 시간인데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칼같은 독립 정신으로 옥중 투쟁을 하셨다니 정말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한훈선생님은 여러 형무소로 전감 중에 많은 고문과 학대를 당하시다가 중병에 걸리셔서 1941년 형집행정지로 출소를 하였습니다. 

    한훈선생님은 충남 계룡 신도안 정장리에서 신병을 치료하고 서당을 차리셨으며, 신도안의 서장환과 안종순 등 애국지사들과 교류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게 되셨습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분들은 대한민국 만세를 외치며 광복의 큰 기쁨과 환희를 누리셨겠지만, 

    한훈선생님이 맞이하신 광복은 그 누구보다도 더 뜨거운 가슴으로 기쁨의 눈물로 맞이하셨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라를 위해 한 평생을 싸우신 애국지사 순국선열분들, 그 중 한훈선생님 같이 훌륭하신 분들이 계시기에 지금의 우리나라가 잘 살아가고 있음을

    다시한번 깨닫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옥중투쟁 2


    감옥 안에 한쪽 벽에는 무죄라는 도장이 무수히 찍혀 있었습니다. 방문하신 많은 분들이 찍으신 도장입니다. 

    저 또한 경건한 마음으로, 감옥안에 마련되어 있는 스템프로 벽에 무죄임을 찍었습니다. 


    기념관 한쪽에는 우리나라를 상장하는 국화인 무궁화 모양의 포스트잇 메모지에  한훈선생님과 독립운동가 분들에게 보내 드리는 

    존경과 감사의 메세지들이 가득 붙어 있었습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옥중투쟁 7


    이 곳을 방문한 어린이들과 청소년들과 대학생들 그리고 일반인들 모두가 한마음으로 작성한,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고귀한 희생을 하신 분들께 드리는, 감사의 무궁화 꽃입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8


    한훈 선생님의 유명한 어록이 있는데요, 

    '독립한 정신없이 독립은 없다' 라는 어록입니다. 


    그릇이 먼저 마련이 되어야 물을 담을 수  있듯이

    독립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는 독립을 할 수 있는 정신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한훈기념관 내부 9


    천안 독립기념관에 한훈의사님의 어록비가 세워져 있는데,

    그곳에는 '세우자 우리나라 우리손으로 !',  '독립한 정신없이 독립은 없다!' 라는 글이 새기어져 있다고 합니다. 


    한훈기념관 외부 2


    한훈기념관이 건립된 이 곳은 한훈 선생님의 옛 집터라고 합니다. 옛 집터에 세운 기념관이니 정말 그 의미가 큰 것 같았습니다. 


    기념관 외부에는 한훈선생님의 우물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한훈 선생님이 사용하시던 샘터로, 이 위치가 그 샘터의 위치라 의미를 담아, 우물을 복원 설치하였다고 합니다. 


    한훈기념관 외부 3


    한훈기념관 개관하기 전, 21년 5월 25일 계룡시에서는 돌 테이블 비석을 우물 옆에 설치해 주셨습니다. 


    한훈기념관 외부 4


    해설사님께서 가르쳐 주셨는데 이 한훈기념관의 외관은 우리나라 태극기의 건곤감리를 형상화한 건축디자인이라고 합니다. 

    안그래도 디자인이 독특해 보였는데 그 의미를 알고 나니 더욱 멋져보였습니다. 


    한훈기념관에서 정말 많은 것을 배워가게 되어 보람차고 뜻깊은 취재를 한 것 같아 좋았습니다. 




    한훈기념관

    ○ 소재지 :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정장리 273-2

    ○ 관람비 : 무료

    ○ 운영 요일 및 운영 시간 : 월~ 금,  오전 9시 ~ 오후 6시 (현재 토요일도 개관으로 변경)

    ○ 주차장 : 보유 주차비용 무료

     * 취재일 : 2025년 6월 21일


    빌리브님의 다른 기사 보기 다른 기사 보기
    빌리브님의 최근기사
OPEN,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기사는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담당부서 : 대변인 디지털소통담당관
문의전화 : 041-635-2053

* 본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게재된 내용의 수정 또는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담당 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