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민의 날 제정 연혁
조선 후기 고종 33년 전국 8도를 13도로 개편하면서, 「충청도」가 충남과 충북으로 분리 설치되며 「충청남도」 탄생(1896. 8. 4. 칙령 제36호)
충청남도 탄생 100주년 기념과 새로운 100년을 시작한다는 의미로 「충청남도민의 날 운영 조례」 제정(1996. 3. 30.)
충남의 뿌리인 백제 웅진 천도 시기와 다양한 문화행사가 개최되는 10월이라는 계절적 합리성을 고려, 10월 5일을 도민의 날로 선포(1996. 10. 5.)
구분 | 개최연도 | 개최지 | 비고 |
---|---|---|---|
1회 | 1996 | 공주시 | 개도100주년 기념식 |
2회 | 1997 | 천안시 | 자체 기념행사 |
3회~5회 | 1998~2000 | 공주시(3~4회), 홍성군(5회) | 도민체전 연계 |
6회 | 2001 | 공주시 | 백제문화제 연계 |
7회~15회 | 2002~2010 | 서산시, 예산군, 천안시, 금산군, 당진시, 논산시, 아산시, 청양군, 공주시 | 도민체전 연계 |
16회~19회 | 2011~2014 | 홍성군, 서천군, 예산군, 서산시 | 충남예술제 연계 |
20회~22회,24회 | 2015~2019 | 당진시, 보령시, 서천군, 태안군 | 도민생활체전 연계 |
25회~26회 | 2020~2021 | 예산군(도 문예회관) | 자체 기념행사 |
27회 | 2022 | 계룡시 | 세계군문화엑스포 연계 |
28회 | 2023 | 부여군 | 대백제전 연계 |
29회 | 2024 | 예산군 | 삼국축제 연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