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날 고려 호국종찰 개태사 봉축법요식

논산시 연산면에 위치한 고려호국종찰 개태사, 2024 석가탄신일 봉축법요식

2024.05.16(목) 21:02:49하늘하늘(sjycsm@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논산 연산면 천호산의 개태사는 고려 태조 왕건은 후백제 신검의 군대를 물리치고
후삼국 통일 완성을 기념하여 개태사를 창건하였습니다.천년 넘는 역사 품은 개태사에서 불기 2568년 석가탄신일 기념 봉축법요식이 열렸습니다.

“2024년 천년고찰 개태사의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개태사
▲ 고려 호국종찰 개태사 신종루

2024년 5월 15일 부처님 오신 날 논산시 연산면 고려 호국종찰 개태사에서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이 열렸습니다. 여기는 개태사는
이 신종루를 지나서 들어갑니다.  

개태사
▲ 개태사의 고려태조 왕건 어진전

고려 시대 개태사에는 왕건의 어진이 봉안되어 있어 진전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기일마다 제를 올렸다 합니다. 
개태사 왕건 어진전에는 왕건의 옷 한벌과 옥대가 보관돼 있었으며 국가 대사가 있을때마다
어진에 나가 길흉을 점치기도 했다 전해집니다.

개태사
▲ 개태사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날 봉축 법요식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 날을 축하하는 봉축법요식이 거행된 고려 호국종찰 개태사 입니다. 
봉축 법요식은 '타종'을 시작으로
폐식사까지 진행되었답니다.

개태사
▲ 개태사극락대보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은 극락대보전에서 거행되었습니다.
봉축식이 열리기 전에 풍물공연단이 축하 행사를 하는 모습입니다.
극락대보전에는 "석조여래삼존불상" 부처님이 모셔있습니다.

개태사
▲ 개태사 연등

개태사 대웅전 앞 마당에는 불자의 마음을 담은 고운색 연등이 걸려 석가탄신일을 축하합니다. 
이제 천년고찰 개태사의 부처님 오신날 봉축 법요식 이야기를 함께 합니다.

개태사
▲ 개태사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 시작 - 타종식 

불기 2568년 석가탄신일 호국종찰 개태사 봉축 법요식은 신종루의 범종을 33회 타종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스님이 신종루에서 은은한 범종을 타종하는 모습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시작

개태사 신도부회장의 개회를 알리는 안내 방송을 시작으로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이 시작됩니다. 여기는 개태사 극락대보전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대종사 주지 스님

불기 2568년 석가탄신일 봉축 법요식은 개태사 대종사 주지스님의 입장으로 시작됩니다.
고운 한복 입은 불자의 안내를 받으며대웅전 앞을 지나 극락대보전으로 입장하는 대종사 주지스님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극락대보전

대종사 스님이 입장하고 삼귀의를 시작으로 시작되는 봉축 법요식 입니다.
삼귀의는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불자들이 함께 합장하고 ....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찬불가

삼귀의가 끝나고 불자와 함께 부르는 찬불가입니다. 찬불가는 "보현행원" 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반야심경봉독


은은한 합창의 찬불가 합창이 끝나고 이제 반야심경봉독 순서입니다.
반야심경은 260자로 함축한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겨있는 경전으로
부처님 오신 날 또는 불교행사가 있을 때 독송하는 경전이라합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육법 공양 - 1. 차공양

육법공양은 부처님께 정성으로 올리는 여섯가지 공양이랍니다. 
처음에는 향을 올립니다.
해탈의 향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육법 공양- 2. 등공양


반야의 등불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고운 연등을 등공양으로 부처님께 올립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육법 공양 - 3. 차공양


지극한 정성으로 감로차를 올립니다. 사방 삼세의 모든 부처님과 청정한 진리를 퍼내시는
승가에 감로의 청정한 차를 공양합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육법 공양 - 4. 꽃공양


만행의 지극한 정성으로 이 꽃을 예경하여 올립니다.
거룩하신 부처님의 일불 제자로서 만행의 선덕을 이루어,
불국정토에 아름다운 꽃을 피워서 장엄하게 하도록 꽃공양을 올립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회 육법 공양 - 5. 과일공양


보리의 과일을 지극한 정성으로 예경하여 올립니다.
어려운 고난 속에서도 탐스러운 열매를 맺은 뒤 앙상한 가지만 간직하는
한 그루의 과일 나무처럼, 위없이 존귀하신 부천님에게 과일을 공양합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회 육법 공양 - 6. 쌀공양


지극한 정성으로 선열의 미를 예경하여 올립니다.
한 방울의 물에도 천지의 은혜가 스며있고, 한 톨의 곡식에도
일체 중생의 무한한 공덕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렇게 봉축 법요식중 부처님에게 올리는 육법 공양이 진행되었습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법요식


부처님에게 지극정성으로 올린 육법 공양을 한 불자들이 부처님에게
경건한 마음으로 예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부처님에게 육법 공양이 되고 개태사 대종사 주지스님의 축원이 있습니다.
석가탄신일의 부처님에 대한 불심과 불자들에게 전하는 축원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신도회 회장의 발원문


주지 스님의 축원 다음에는 개태사 신도회장의 발원문 낭독이 있습니다.
' 불기 2568년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우리 사부대중일동은....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개태사 신도회장의 발원문이 극락대보전에 가득합니다.

개태사

▲ 개태사 대종사 주지스님


개태사 석가탄신일 봉축 법요식을 주관하는 대종사 주지스님입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석가모니불.

개태사

▲ 개태사 봉축법요식 - 헌화


발원문 낭독이 끝나고 주지스님 등 법요식을 주관하시는 스님들이 부처님에게 헌화를 합니다. 
준비된 꽃 한송이씩 부처님 앞에 경건하게 올립니다.

개태사

▲ 개태사 양산대종사스님 축사


부처님에게 헌화 후 양산대종사 주지스님의 봉축사가 이어집니다. 
봉축사는 "본래불의 마음으로 바라보라"는 뜻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나무 충만법계 일체불, 나무 황창찰해 무생정토, 나무 몽환공화 수월도량"
 - 의산당 양산 대종사 -

개태사

▲ 개태사 석가탄신일 봉축 법요식 


양산 대종사님의 봉축사 뒤를 이어 청법가를 함께 합니다.
덕높-으신 스승님 사자- 좌에 오르사.......
 

개태사

▲ 개태사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


이제 입정의 순서로 불자와 스님들이 고요함 속에 잠시 명상의 순서입니다.
이어서 봉축법어와 관불의식이 진행됩니다.


개태사

▲ 개태사 양산 대종사 관불의식


관불의식은 개태사 극락대보전 앞에 자리한 아기부처님 목욕시키는 행사입니다.
관불의식의 의미는 부처님에 대한 공경을 표시하고,
자신의 몸과 마음을 청정히 한다는 의미가 있다합니다. 대종사님의 아기부처님 관불의식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법요식 불자의 관불의식 


대종사님의 관불의식 후 불자들의 관불의식인 아기부처님 목욕시키기.
경전에 의하면 좋은 향물로서 부처님의 형상을 목욕시키면 
스스로 복과 지혜를 얻고 공덕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부처님의 몸을 씻겨 드린 물을 길상수라하며,
길상수를 받은 대중은 관불대를 중심으로 세번이나
일곱 번 부처님께 예배를 올린답니다. 

개태사

▲ 개태사 봉축 법요식 축하 공연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요식 행사가 끝나고 축하 공연이 이어집니다. 낭낭한 그리고 불심이 가득담긴
목소리로 회심곡을 공연하는 모습입니다.

개태사

▲ 개태사 대웅전


936년 태조 19년에 고려 태조 왕건은 통일의 대업은 부처님의 은혜와
하늘의 도움이라고 여겨 황산을 천호산으로 개명하고 개태사를 창건했답니다.
천년이 넘는 역사을 담은 논산시 연산면 개태사!
불기 2568년 석가탄신일을 맞아
개태사를 방문하여 봉축 법요식을 함께한 부처님 오신 날 입니다.


개태사
충남 논산시 개백로 2614-11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