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공주 3.1중앙공원, 거기서 보이는 것들

2024.03.25(월) 14:57:09잔잔한 미소(ih2oo@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공주는 웅진백제의 왕도로 세계유산을 품은 도시로 관광문화도시답게
크고 작은 공원(公園)도 많은 도시다.
 
금강 둔치에 조성된 금강신관공원과 금강쌍신공원을 비롯하여
시내에서 멀지 않은 정안천생태공원, 연미산자연미술공원, 금학생태공원과
공주보 부근의 웅진공원, 구 미나리꽝 끝의 금강공원 등
공주는 가는 곳마다 공원이라 할 수 있다.
 
공주 원도심에는 유명한 산성공원(공산성)도 있지만,
오늘은 잘 알려지지 않은 공주 중동의 3.1중앙공원을 소개한다.

공주 3.1중앙공원의 유관순 열사 상
▲ 공주 3.1중앙공원의 유관순 열사 상
 
얼마 전에 유인촌 문체부 장관도 다녀갔다는 그 공주 3.1중앙공원이다.
여기는 아름다운 수목이 우거진 경치 좋은 그런 휴식을 위한 장소라기보다 교육적으로 가치가 높은 공원이라 할 수 있다.
 
공주 원도심 중앙의 공주중동초등학교 동쪽 옆 언덕 위가 바로
3.1중앙공원인데 유관순 열사 상이 우뚝 솟은 공원 주변에
영명중고등학교와 공주도서관이 있고
부근의 국고개문화거리에 공주중동성당과 충남역사박물관과 효심공원이 있다.
 
3.1중앙공원의 옛 이름은 앵산공원(櫻山公園)이다.
 
오래전부터 이곳에 많았던 벚꽃 덕분에 앵산공원이란 이름이 붙여졌던 공원으로 지금은 3.1중앙공원이란 이름의 안내판이 있다.
 
앵산공원의 옛 사진에는 1927년에 공주 읍민들이 세웠던 팔각정이 자주 등장하는데, 공주 시민들의 휴식 장소이자 학창 시절의 추억이 떠오르는 공간으로 오랜 세월 사랑을 받았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3.1중앙공원이라는 이름과 함께 언덕 일부만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출처 안내판) 
 
3.1중앙공원 안내판
▲ 3.1중앙공원 안내판

1963년 공주사범학교 졸업 앨범에서의 앵산공원 팔각정
▲ 1963년 공주사범학교 졸업 앨범에서의 앵산공원 팔각정
 
3.1중앙공원 정상에 유관순 열사 상이 서 있는데 주변의 부조와
뒤에 새겨진 유관순 열사와 사에리시에 대한 자세한 활동 상황은
당시 유관순 열사의 독립 정신을 일깨우는 내용들이다.
 
유관순 열사 상 뒷모습
▲ 유관순 열사 상 뒷모습

3.1중앙공원을 국고개문화거리에서 올라 보기로 한다.
 
국고개문화거리는 원도심 활성화 사업으로 2009년도에 조성되었으며
옥룡동회전교차로부터 옛 공주읍사무소에 이르는 거리로 
주변 경관을 잘 다듬은 거리다.
 
공주 국고개문화거리
▲ 공주 국고개문화거리
 
오늘 걸으면서 보니 전에 보지 못하던 작은 곰 상이 있다.
 
공주 국고개문화거리의 작은 곰 상
▲ 공주 국고개문화거리의 작은 곰 상

공주는 곰나루 전설과 관련된 이런 곰 상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다. 
공주에는 곰 웅(熊) 자가 들어가는 명칭이 많고 거리나 다리, 학교 등
여기저기서 쉽게 곰 상을 만날 수 있다.
 
국고개문화거리의 작은 곰 상 안내문, 공주역사 곰
▲ 국고개문화거리의 작은 곰 상 안내문, 공주역사 곰
 
국고개문화거리의 정상에는
충남역사박물관과 공주중동성당이 마주하고 있으며 부근에 효심공원이 있다.
 
충청인의 삶과 얼이 스며있는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은 2006년 9월에
옛 국립공주박물관 자리에 개관한 곳이라고 홈페이지에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문화유산을 수집, 전시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활용 사업을 하고 있는데 정기 특별전, 인문 한마당, 기증 기탁자 초청 행사, 학술연구 및 도서 발간 등의 다채로운 문화행사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인데 지금은 리모델링 공사로 내부는 휴관 중이다.
 
공주 국고개문화거리에 있는 충남역사박물관
▲ 공주 국고개문화거리에 있는 충남역사박물관

이곳에서 왕벚나무의 우람한 모습과 건너편 공주중동성당 모습을 볼 수 있다. 얼마 안 있어 벚꽃이 피면 벚꽃 축제 한마당을 즐기는 시민들로 북적일 것이다.
 
충남역사박물관 왕벚나무 해설판
▲ 충남역사박물관 왕벚나무 해설판

충남역사박물관에서 보이는 건너편의 공주중동성당
▲ 충남역사박물관에서 보이는 건너편의 공주중동성당

충남역사박물관에 오르기 전에 효심공원이 있는데
여기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효’의 가치와 의미를 더하기 위하여
공주 지역의 효자로 널리 알려진 향덕과 이복을 주제로 조성된 곳이다,
 
공주 효심공원, 효자 비각과 행복 가족 상
▲ 공주 효심공원, 효자 비각과 행복 가족 상

여기에는 효열문, 효원탑, 효행 상, 행복가족 상 등 상징 조형물 4점이
설치되어 있는데 부근의 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른
충남역사박물관에서 내려다보니 효심공원이 한눈에 다 들어온다.
 
충남역사박물관에서 본 공주 효심공원
▲ 충남역사박물관에서 본 공주 효심공원

충남역사박물관 후문으로 나와 중앙공원 길을 걸어서 오르면
3.1중앙공원보다 먼저 만나는 곳이 공주독립운동기념관이다. 
이곳은 공주영명중고등학교 주 출입문인 교문이다.
 
공주독립운동기념관
▲ 공주독립운동기념관

충남 공주시 독립운동의 역사를 한눈에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이곳 기념관은 2022년 4월에 문을 열었는데 여기는 독립운동가의 명언, 독립운동과
영명학교 변천사, 공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122명의 공훈을 소개하였고 체험과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으로 되어있다.
 
3.1중앙공원에서 바로 보이는 공주영명중고등학교이다.
 
공주 영명학당
▲ 공주 영명중학교 앞 영명학당

입구에서 두 학교의 우수한 점을 알 수 있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교육성과 내용을 보아 이 분야에 앞서가는 학교임을 알 수 있다.
 
참학력 수학 우수 이끎학교 공주영명중학교
▲ 참학력 수학 우수 이끎학교 공주영명중학교

학교폭력 없는 학교 선정 수상 공주영명고등학교
▲ 학교폭력 없는 학교 선정 수상 공주영명고등학교

공주영명고등학교는 1906년 선교사의 사랑이라는 씨앗으로 열린
충청 지역 신학문의 역사를 연 배움터로 120년이 가깝게 겨레를 이끈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는 학교라고 홈페이지에 소개하고 있다.
 
영명학교는 공주 3.1운동 만세 시위 준비지로
국가보훈부가 지정한 현충 시설이라는 표지판이 학교 정원에 세워져 있다.
 
국가보훈부 지정 현충 시설 영명학교
▲ 국가보훈부 지정 현충 시설 영명학교
 
그 내용을 읽어보면 1919년 2월부터 8월까지 영명학교 졸업생, 
영명여학교 교사, 영명학교 교사, 교목, 학생 그리고
공주 읍내 교회 청년부 등 독립선언문 인쇄 등
참여 인원 17명의 명단이 적혀있다. (출처: 안내판)
 
공주영명중고등학교는 공주 시내 중앙 언덕 위의 학교로 오르는 길이 많다. 
충남역사박물관 옆의 중앙공원길이 주 통학로이지만, 
영명학당길도 있으며 대추골 길에서도 오를 수 있다.

지대가 높아서 공기도 맑고 주변 경관을 조망하기 좋은 학교이다. 
 
학교 앞 공주역사전망대에서 바라본 공주 시내 모습이다.
건너편 봉황산 아래로 보이는 아담한 도심의 모습이 정겹다.
 
영명고등학교 공주 역사전망대에서 본 공주 시청 쪽 원도심
▲ 영명고등학교 공주 역사전망대에서 본 공주 시청 쪽 원도심

영명고등학교 공주 역사전망대에서 보이는 봉황산 쪽 원도심
▲ 영명고등학교 공주 역사전망대에서 보이는 봉황산 쪽 원도심
 
공주영명고등하교 바로 인근에 공주도서관이 자리하고 있어서
다른 학교에 비하여 좋은 교육 조건을 갖춘 학교라 할 수 있다.
 
충청남도공주교육지원청공주도서관
▲ 충청남도공주교육지원청공주도서관

공주 3.1중앙공원은 그 주변에 교육과 문화, 애국, 역사와 종교 등
교육적 교훈이 담긴 기관이 있는 곳이다.
 
선열들의 독립 정신과 문화유산의 우수성을 느끼며 배울 수 있는 이곳,
3.1중앙공원이 공주 원도심 중앙에 있다.
 
 
3.1 중앙공원
충남 공주시 중앙공원1길 11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