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단풍이 물든 가을의 정취를 머금은 현충사

2023.11.24(금) 21:41:32장병인작가(kis9682@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현충사는 중고등학교에 봄과 가을 소풍으로 단골처럼 매번 가는 코스였습니다. 중학교 졸업여행과 고등학교 봄소풍으로 이곳을 갔고, 그 이후로는 처음 발길을 내딛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은행나무의 노란 가을 단풍이 부드러운 바람에 살랑거리며 손짓을 하였습니다. 넓은 주차장에는 푸드트럭도 있고, 각종 편의시설도 구축되어 있어 관리가 매우 잘되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주차장 근처의 은행나무는 노랗게 물들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현충사는 이순신 장군이 혼인하여 살던 집과 이순신을 기리는 사당이 있습니다. 조경도 잘 갖추고 내부가 깔끔하게 단정되어 산책 삼아 구경하기에 안성맞춤입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충무공 이순신기념관은 현재 내부 수리중으로 2023년 9월 11일부터 2024년 2월까지 문을 닫았습니다. 역사적으로 뜻 깊은 난중일기도 있고, 이순신 장군께서 평생을 함께한 칼도 소장되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현충사는 사당으로 조선시대 숙종 때 건립이 되었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존립이 위태로워 졌고, 일제 강점기에 동아일보 신문사의 주관으로 재건립되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1932년에 국민들의 성금으로 고쳐 지은 구 현충사를 아래로 옮기고 1967년에 새로 지은 현충사의 전경입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현충사 내부에는 충무공의 영정이 모셨고, 떨리는 마음으로 참배를 마쳤습니다. 구 현충사는 규모는 매우 작지만 의미가 남다른 곳으로 한쪽 구석에 마련되어 찾기가 어렵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이디어가 샘솟고,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짧고 굵게 색이나 펜의 필력으로 잘 나타내서 기억에 남는 작품이 많았습니다.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통해 상상하여 이렇게도 나타낼 수 있구나라고 감탄을 하였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이순신 장군이 살았던 고택도 있고, 이후 종손들이 대대로 살면서 역사적인 의미를 더하였습니다. 고택에는 현재 일러스트레이션 전시가 한창 진행중이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현충사에 게시한 명필 숙종이 직접 쓴 편액이 구 현충사에 걸렸습니다. 1966년에 현충사 성역화 사업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쓴 현판을 현충사에 걸었기 때문입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충무문을 지나 오른쪽 단풍 숲길을 걷다 보니 정면에 방화산 줄기가 보였습니다. 동쪽 숲길을 따라 700미터 떨어진 지점에는 이순신 장군의 셋째 아들 이면 공 묘소가 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왜군과 싸우다 21살의 나이로 전사한 그는 전사한 지 220년이 지난 후에 정조 20년에 이조 참의의 벼슬을 받았습니다. 그의 높은 묘역에서 아래의 전경을 내다보면은 아름다운 풍경을 내다 볼 수 있습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커다란 잉어들이 살고 있는 연못도 있다 보니 잔잔한 물결을 따라 보고 있자니 기분이 상쾌해지곤 합니다.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아산 현충사에서 이순신 장군의 얼을 느끼다 사진

골프장처럼 넓고 평탄한 넓은 잔디 구릉 지대에 형형색색 단풍나무가 지점하여 현충사 전체가 넓은 정원의 풍경입니다. 커다란 은행나무는 아산의 가을을 대표합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