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천안시농업기술센터 도시농업힐링체험교육장에서

2017.07.13(목) 21:52:08보라공주(eyeful3535@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흙을 만져보고 밟아본 적은 언제였을까요. 치열한 경쟁과 빠른 변화에 지친 도시인들은 끊임없이 자연을 그리워합니다. 그래서 주말농장을 찾아 반농부를 자처하는 사람들도 많고, 아파트 베란다나 건물 옥상, 혹은 다양한 자투리 공간에서 텃밭을 일구는 사람들도 생겨나기 시작했죠. 바로 도시농부들입니다. 건강한 먹을거리를 생산해 가족, 이웃들과 나눠 먹으며 삭막한 도시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도시농업은 생태계 보전, 삭막한 도시환경 개선, 이웃과의 나눔이라는 새로운 가치가 조명되면서 21세기 세계 도시의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도농복합도시인 천안시는 이러한 도시인들의 욕구를 해결해주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고자 천안시농업기술센터에서 도시농업힐링체험교육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와 함께 도시농업힐링체험교육장을 한번 구경해 볼까요.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도시농업은 일반적으로 취미생활이나 일부 채소 등을 자급할 목적으로 도시민들이 짓는 농사를 말합니다. 현대사회에서 도시농업은 주말농장, 옥상텃밭, 자투리 공간을 이용한 화분 및 상자텃밭 등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도시농부텃밭, 다육식물정원, 아열대정원, 허브정원 등을 체험할 수 있고, 텃밭채소, 오늘의 꽃 등 재미있는 식물이야기도 볼 수 있습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입구에는 커피나무가 자라고 있는데요. 한국에서도 커피나무가 자라고, 커피콩이 재배하고 있다고 합니다. 커피나무가 한국에 들어온 것은 1980년대입니다. 당시 다양한 수입작목이 들어오면서 열대성 작물인 커피나무도 한국에 들어왔다고 합니다. 이제 천안에서도 커피나무가 자라고 있었습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자스민 향 가득한 커피꽃이 활짝 피어 있습니다. 커피꽃의 꽃말은 ‘너의 아픔까지도 사랑해’라고 합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대표적인 여름꽃인 능소화가 활짝 펴 있는데요. 능소화는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 꽃이라 불렸고 장원급제자의 화관에 장식했다 하여 어사화라고도 불리는 꽃입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입구에 들어서면 다육식물 정원이 보이는데요. 다육식물이나 허브와 같이 햇빛이 조금 모자라도 잘 자라는 식물들을 집에서도 키우기가 쉽다고 합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집에서 원예활동을 하면서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꽃들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도시농업을 통해 사람들은 보다 생산적인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원하는 작물 재배를 통해 믿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먹거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작물을 키우는 과정에서 얻는 다양한 경험은 재배자에게 생태교육의 장이 되기도 하지요.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도시농업은 접하는 시민들이 즐기는 농업입니다. 화분과 육묘상자등을 활용 나팔꽃으로 만든 녹색커튼 아이디어, 화분에서 재배하는 상치와 쑥갓등 엽채류의 재배, 주말농장은 주민들과 나눔을 실천하는 공간으로 경제성으로 말할수 없는 공동체를 이루는 효과를 발휘한다고 합니다. 아파트 자투리땅에 텃밭 조성했을 때 주민들의 친밀도가 훨씬 좋아졌다는 조사결과도 나와있습니다.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드는 도시농업 사진


이곳은 생활 속 도시농업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며 도시민이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텃밭 유형과 작물배치법을 볼 수 있어 실생활에서도 활용 할 수 있습니다.

도시농업은 국민농업으로 가는 교량이고, 도시가 꽃이라면 농촌은 뿌리가 사는 토양으로, 농업이 발전해야 진정한 선진국이고 국민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몸과 마음을 동시에 즐겁게 만드는 도시농업은 건강한 도시와 건강한 삶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