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문화·역사

문화·역사

충남넷 미디어 > 통통충남 > 문화·역사

세계최대 '줄다리기 줄'을 내손으로

큰 줄 제작 관광객도 참여할 수 있어

2010.03.08(월) 관리자()

4월 7~10일 개최되는 ‘2010 기지시줄다리기 축제’ 준비가 한창인 가운데,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가 3월 2일부터 4월 2일까지 한달간 줄제작의 대장정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특히 줄다리기의3월 20(토)~21(일) 양일간 큰줄 제작을 하는데 큰줄 제작에는 일반인 참가자를 모집해 현지 주민은 물론 관광객들이 함께 어울려 줄을 만들면서 직접 축제를 준비할 수 있도록 했다.

기지시줄다리기에 쓰이는 줄은 길이 약 200m, 지름 1m, 암줄과 수줄을 합하여 무게 40t에 이른다. 연인원 1,800명이 참가해 꼬박 한 달을 줄 꼬기에 매달려야 할 만큼 규모가 어마어마하다. 따라서 줄 제작은 축제 준비에서 가장 힘들고 긴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최대 '줄다리기 줄'을 내손으로 사진  
▲ 주민들이 기지시 줄다리기 줄을 만들고 있다. /당진군 제공
줄 제작은 재료의 준비부터 새끼줄 및 젖줄 꼬기, 큰줄 꼬기, 곁줄 꼬기, 암·수줄 머리 만들기, 곁줄 및 젖줄 달기, 줄 쌓기의 순으로 진행된다.

큰줄을 제작하려면 지름 4cm, 길이 100m 내외의 새끼줄 수백 가닥이 필요하다. 새끼줄 70가닥을 꼰 후에 다시 합쳐 꼬아 중간줄을 만들고 다시 그 중간줄 세 가닥을 하나로 꼬아야 가장 굵은 큰줄이 만들어진다. 큰줄 양옆으로는 ‘곁줄’을 이어붙이고, 여기에 사람들이 잡아당길 수 있는 ‘젖줄’을 촘촘하게 매달아야 비로소 기지시줄이 완성되는 것이다. 큰줄에는 젖줄이 1천여 개나 달린다.

이처럼 거대한 기지시줄을 만드는 과정에는 조상들의 지혜와 과학기술이 숨어 있다. 줄을 ‘줄틀’에 걸어 여덟 방향에서 동시에 닿는 힘의 작용과 반작용을 이용해 큰줄을 꼬기 때문에 설령 크기가 같다고 해도 여타 줄다리기 줄보다 두 배 가까이 무겁고 튼튼한 줄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줄을 꼴 때 쓰는 줄틀은 참나무로 만들어져 있는데, 크게 고정틀과 이동틀, 사치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참나무 줄틀의 보관에도 선조들의 지혜가 가득하다. 나무가 부식되거나 트는 것을 막는 한편 더욱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평소 ‘틀못이’라는 연못에 수장하여 보관하다가 몸줄 제작 1~2일 전에 꺼내 햇빛에 말려 쓰는 것이다.

큰줄 제작은 워낙 힘이 드는 작업이라 중간 중간 농악을 치면서 서로 기운을 북돋는다. 보존회 관계자와 주민들, 관광객이 하나 되어 구슬땀을 흘리며 웃음꽃을 피우는 큰줄 제작 현장은 그 자체로 흥겨운 축제의 한 장면이 된다.

500년 전통의 기지시줄다리기 줄 제작에 직접 참가하려면 ‘기지시줄다리기축제’ 홈페이지(www.gijisi.org)에 신청하면 된다.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선착순 1,000명까지 접수를 받는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