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도정뉴스

충남역사문화연구원과 부여문화원, 충남동학농민혁명 바로알기 교육, 답사 실시

2024.05.14(화) 09:58:20 |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이메일주소:https://www.cihc.or.kr/
               	https://www.cihc.or.kr/)

충남역사문화연구원과부여문화원충남동학농민혁명바로알기교육답사실시 1


충청남도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에서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을 기념하여 ‘충남동학농민혁명 활용사업’을 추진중이다. 도내 각 문화원과 협업하여 지역별 교육과 답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강의는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이해와 충남의 동학농민혁명 그리고 각 지역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주제로 진행되고 강의 후 동학농민혁명의 현장을 직접 체험해보는 답사를 실시한다.
 
이 사업의 시작은 부여문화원과 함께 하였는데, 부여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에 대한 특강에 이어 5월 11일 부여 동학농민혁명의 발자취를 찾아가 보는 답사를 진행하였다.
 
이날 진행된 답사는 부여 대방면 점령지(부여군 부여읍 중정리)/건지동 학살터(부여군 규암면 라복서로 11번길)/홍산현 관아(부여군 홍산면 동헌로 38)를 둘러보고 공주 우금티 전적지(공주시 금학동) 등을 답사했다.
 
현재 부여군은 동학농민혁명 당시 부여, 임천, 홍산, 석성 등 네 개 고을로 나뉘어있었고 각 지역 동학농민군이 전봉준이 이끄는 주력과 연결되어 활동하였다. 당시 충청도 지역은 1차 봉기 이후, 2차 봉기만 참여하였는데, 부여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1차 봉기와 2차 봉기 사이에 매우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사업을 주관하는 충남역사문화연구원 김낙중 원장은 ‘부여군을 시작으로 각 시군 문화원과 협의하여 프로그램을 진행시키겠다.’고 하며 이를 통해 올해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의 의미가 새롭게 인식되고 지역문화 콘텐츠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담당부서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백제충청학연구부
전화번호 041-840-5040

 

충남역사문화연구원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남역사문화연구원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