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지역신문뉴스

해마다 인구감소하는 농촌, 농사지을 사람 없어

[농촌&포커스] 충남지역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4천 명 더 많아, 3년 연속 인구 자연감소

2021.07.01(목) 12:15:33 | 서해안신문 (이메일주소:fire4222@nate.com
               	fire4222@nate.com)

 

사람구경 힘든 농촌, 한 농가는 늦게나마 겨우 모내기를 마칠 수 있었다.

▲ 사람구경 힘든 농촌, 한 농가는 늦게나마 겨우 모내기를 마칠 수 있었다.



 

농촌의 고령화와 출산감소, 이에 따른 일손부족과 인건비 상승은 기계화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밭작물 농가와 소규모 영세농에게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충남지역은 공주시, 보령시, 논산시, 태안군, 청양군, 예산군, 부여군, 홍성군, 서천군 등이 소멸위기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충남의 인구 소멸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어 우려된다. 지난해 충남지역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4천 명 더 많아 3년 연속 인구 자연감소를 기록했다.

특히 농촌지역일수록 인구 자연감소가 훨씬 더 심각해 미래 농업에 가장 위협이 되고 있다. 출생건수에서 사망건수를 제외한 인구자연증가를 보면 충남은 2012년에는 6,400여 명이 자연증가했지만 2018년 처음 1,400여 명 자연감소한 뒤 지난해에는 4천여 명까지 감소폭이 확대됐다.

충남 부여와 청양, 서천군은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4배 이상 많아 빠른 자연감소가 진행되고 있다. 수천만 원의 출산장려금 등 지자체의 각종 지원책도 별 효과가 없어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는 서천군은 출산장려금을 대폭 확대 지급한다. 현금성 지원 정책이 인구 감소를 막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역소멸위험지수(2020년 5월 기준)에 따르면, 서천군은 도내 15개 시군 중 지역소멸 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곳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군 인구수는 5만1866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39명(-1.78%)이 감소했다.

군은 출산장려금을 최대 3000만원까지 지급하는 ‘서천군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인구정책 지원조례’를 마련·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조례에 따라 군은 첫째 아이는 500만원, 둘째 1000만원, 셋째 1500만원, 넷째 2000만원, 다섯째 이상 3000만원씩 지급한다. 지원금은 50개월에 나눠 지원한다.

앞서 군은 첫째 10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480만원, 넷째 860만원, 다섯째 1540만원, 여섯째 이상 2220만원의 출산·양육지원금을 지원했다.

개정된 출산장려금은 다음달 1일 출생한 아기부터 적용되며, 출생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신청 일까지 부모 모두 서천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해야 한다.

다만, 직업상 이유로 부모 중 한 사람이 지역에 거주하지 못하거나, 인사발령 등으로 거주기간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관련 자료 소명 시 지급받을 수 있다.

노박래 서천군수는 “지난해 육아정책연구소 양육비용 연구결과에 따르면 월평균 양육비는 92만원 수준”이라며 “군은 지역에서 태어난 아기만큼은 안정된 생활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출산장려금을 확대하게 됐다”고 말했다.
 

서해안신문님의 다른 기사 보기

[서해안신문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