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장날에 모시옷 입고 나가 논두렁에 빠진 남편

한여름 최고의 옷감, 한산모시

2020.08.13(목) 20:01:00 | 황토 (이메일주소:enikesa@hanmail.net
               	enikesa@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1
▲한산세모시
 
열여섯 살에 시집온 새색시는 시집온 그날로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다. 새댁의 남편은 차남으로, 병약한 형님이 별세하자 장남의 책임감을 스스로 어깨에 짊어졌다. 일가친척들이 한마을에 살았던 시절이다. 남편은 자신의 아내와 형수, 그리고 네 명의 조카들을 건사해야 했다. 새댁은 형님(윗동서)의 매운 시집살이를 살았다. 시집은 왔지만 남편과 합방은 10년이 지나서였다. 새댁의 나이 스물다섯 되던 해, 첫아들을 낳았다.
 
1
 
1
 
1
 
옷을 지어 입던 시절이었다. 새댁은 농사짓는 틈틈이 베틀에 앉았다. 아이들이 잠든 밤에 해진 옷을 깁고 꿰매는 건 새댁의 일상이었다. 남편은 말없이 과묵했다. 부부가 서로 사랑하는 방법이었을까. 하루의 고된 노동을 끝내고, 호롱불 앞에서 아내가 바느질을 할 때, 남편은 "옥단춘전", "심청전", "장화홍련"을 읽었다. 남편에게 모시옷 한 벌을 해준 어느 장날, 느지막이 돌아온 남편의 모시옷이 진흙에 얼룩져 후줄근했다. 술에 취해 집으로 오는 길에 논두렁에서 넘어진 것이다.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1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2
  
모시옷을 입고 논두렁에 넘어진 남편은 잠든 6남매를 모두 깨워 집합시킨다. 그때부터 일장연설이 시작된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야 한다”는 주제는 변함이 없다. 그 주제를 듣고 자랐던 둘째 아들이 지금의 내 남편이다.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3

서천의 한산모시관을 방문하고 전시관에 들어서자 나는 시어머니(엄니)생각에 뭉클했다. 고급스럽고 단아한 저 옷감이 만들어지기까지 베틀 앞에 앉아 베를 짜기까지의 많은 과정이 있다. 그 품질을 결정한다는 ‘모시째기’는 별다른 도구 없이 이[齒]를 사용한다고 한다. 아랫니와 윗니로 태모시를 물어 쪼개는 일이 반복되는 것이다. 그 일을 수백 번 반복하니 모시째기는 수월해지겠지만, ‘이에 골이 파지며’ 또 이가 깨지기도 한다. ‘이골이 난다’는 말은 이런 반복작업에서 생겨난 말이다. 잠이 쏟아져서 베틀에 앉아 졸기도 했다는 엄니. 졸음 앞에 당신 이가 아픈 건 다음이었단다.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4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5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6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7
 
모시는 언제부터 재배되었을까. ‘통일신라시대 한 노인이 약초를 캐기 위해 건지산에 올라가 처음으로 모시풀을 발견하였는데, 이를 가져와 재배하기 시작하여 모시짜기의 시초가 되었다고 구전되고 있다’는 전시글이 있다.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8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9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10
 
백제시대 때 모시풀을 처음으로 발견한 곳이 바로 건지산 기슭이었기 때문에 모시관을 이곳에 지었단다. 모시잎은 우리가 먹는 깻잎과 모양이 비슷하다. 모시풀은 습기가 많고 기온이 높은 곳에 잘 자란다고 한다. 한산모시관 입구로 들어가는 한 켠엔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심어 놓은 모시풀이 있다. 언뜻 초록빛 깻잎과 흡사하다.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11
 
한여름 최고의 시원한 옷. 엄니는 여름에 모시옷을 입고 항상 부채를 손에 들었다.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이 당신과는 잘 맞지 않는다고 했다. 정갈하고 우아하기까지 한 여름의 전통옷감. 전시관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모시의 역사와 시대별 전통복식 등을 전시하고 있다. 
   
장날에모시옷입고나가논두렁에빠진남편 12
 
우리 조상들이 입었던 전통의 모시. 그러나 현대에 더 모시의 우수성을 체감하게 되는 모시. 모시실을 베틀에 올려 베 한 필을 만들어내는 데는 무려 5개월이나 걸린다고 한다. ‘밥그릇 하나에 모시 한 필이 다 들어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결이 가늘고 고울 뿐 아니라 통풍까지 잘되는 우리나라 여름 최고의 옷, 모시. 그 옷을 입고 장에 나가 무거운 책임을 잠시 내려놨을 가장의 모습이 그립고 보고 싶은 엄니 모습과 겹친다.
 

황토님의 다른 기사 보기

[황토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