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신바람 어울림 꿈’이 있던 자리

홍성군 갈산면 광성초등학교 폐교단상

2019.10.07(월) 10:54:43 | 황토 (이메일주소:enikesa@hanmail.net
               	enikesa@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50여 년 전, 왼쪽 가슴에 흰 수건을 달고 엄마를 따라 학교에 갔다. 내 또래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어른들과 함께 운동장에 모여들었다. 양복을 입은 교장선생님이 단상에 올라섰다. 아이들이 반별로 다시 자리를 잡았다. 교장선생님의 연설은 그때부터 지루함의 상징이 되었다. 그 1학년에서 나는 열몇 번째 반에 배정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담임선생님을 따라 교실로 들어갔다. 복도는 삐걱거렸고 교실은 60명이 넘는 아이들 떠드는 소리에 멀미가 날 지경이었다. 그렇게 지루한 나의 초등학교시절이 열렸다. 그때는 ‘국민’학교라 불렸고 우리는 베이비부머세대였다. 학생 수가 너무 많아 교실이 부족했다. 나는 아침에 학교에 가기도 했고 점심을 먹고 오후에 등교하기도 했다. 2부제 수업이었다.
 
1
▲아련하게 보이는 초등학교 정문

고즈넉한 시골길을 지나다 (광성)초등학교 근처에서 걸음을 멈췄다. 할머니 한 분이 지팡이를 짚고 걸어가는 모습이 보이다 이내 사라졌다. 교문 양쪽 길에 은행나무가 있었다. 오후 네 시, 아직 새들이 깃들기에는 이른 시간이었는데, 나무이파리 속으로 새들이 모여들었다. 바닥에 떨어진 은행은 대부분 뭉개졌다.
 
1
▲닫힌 교정
 
신바람어울림꿈이있던자리 1

학교 정문은 닫혀 있었다. 폐교된 운동장엔 풀들이 가득했다. 단층으로 된 나지막한 교실 건물은 나무와 키가 엇비슷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이 서 있는 근처 계단에서는 금방이라도 아이들이 교실 문을 박차고 나올 것 같았다.
 
신바람어울림꿈이있던자리 2

학교 건물 위쪽으로 ‘신바람 어울림 꿈’이란 글이 있다. 신바람 나게 서로 어울려 뛰어노는 아이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신바람 어울림 꿈으로 공부했던 아이들은 지금 모두 어디에 있을까. 저 글을 붙일 때 아이들의 꿈을 위해 계획하고 고민했던 열정적인 선생님들도 있었을 텐데, 단상 근처 홀로 서 있는 깃대가 왠지 쓸쓸하다. 태극깃발이나 학교깃발이 멋지게 흔들릴 때마다 중심이 되었던 깃대. 바람이 잠시 깃대 주변을 기웃거리다 허전히 돌아가는 것 같다.
 
신바람어울림꿈이있던자리 3
 
게시판자리를 대신한 풀들
▲게시판자리를 대신한 풀들
 
학교일정을 알리는 교문 앞 게시판 틈으로는 풀들이 들어와 자리를 잡았다. 다른 활용 없이 학교는 아이들이 빠져나간 그때 그 시간 그대로 머물고 있는 것일까.
 
신바람어울림꿈이있던자리 4

내가 초등학교를 다니던 6년은 너무 길고 지루했다. 2부제 수업으로 오후에 학교 가는 것도 내키지 않았다. 그렇다고 아침에 갈 때 좋았던 건 또 아니다. 아침은 잠이 덜 깬 상태로 몽롱했고, 오후엔 나른했다. 공부가 썩 재미있지도 않았다. 콩나물교실에서 나는 선생님과 친구들한테 눈에 띄는 아이가 아니었다. 어릴 땐 키 순서대로 앞줄에서 두세 번째 줄 언저리에 앉았다. 나는 있는 듯 없는 아이였다.
 
신바람어울림꿈이있던자리 5
 
도시의 바글바글한 시멘트교실이 아닌, 자연에 둘러싸인 자그마한 시골학교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면 어땠을까. 눈을 맞춰주는 선생님과 사는 형편이 엇비슷한 동무들, 계절마다 감탄을 자아내는 자연이 어쩌면 안으로 웅크려들던 내 마음을 열게 했을지도. 그렇게 형성된 성격은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지금 내게 조금은 유연하고 말랑말랑한 힘으로 작용했을지도 모르겠다.
  
돌아가는 길, 아담한 마을이 보인다.
▲돌아가는 길, 아담한 마을이 보인다. 

수십 년의 시간이 흘렀다. 교실에 넘쳐나던 아이들은 점점 줄어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혹은 ‘둘도 많다’던 출산장려정책의 표어가 무색해졌다. 뽕나무밭이 변해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상전벽해(桑田碧海)가 실감난다. 10월. 태풍 ‘미탁’이 지나간 맑은 하늘. 이때쯤이면 가을운동회로 학교가 들썩였을 계절이다. 은행나무에 모인 새들이 여전히 짹짹거리고, 학교는 고요하다.
 

황토님의 다른 기사 보기

[황토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