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한여름에 참깨알 쏟아졌네

참깨, 고추, 녹두를 수확하는 농촌현장

2015.08.10(월) 22:48:21 | 도희 (이메일주소:ass1379@hanmail.net
               	ass1379@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1

며칠전만 해도 하얀 꽃을 피우던 참깨가 8월의 더위에 알알이 영글어 농부의 손에 베 눕혀지고 있다. 지금 농부는 뙤약볕에 흐르는 굵은 땀방울을 뒤로하고 한 움큼씩 깻다발을 만들어 더러는 집 담벼락에 총총히 기대어 세우고 참깨알 쏟아질 날을 고대하고 있다. 

참깨는 푸른색일 때 베어서 비닐을 깔고 말려야 손실을 막을 수가 있다. 특히 참깨 말릴 동안은 비를 맞으면 곰팡이가 슬게 돼 다 버리게 된다. 예로부터 농부는 살갗에 스치는 바람과 하늘만 봐도 일기예보를 점치고 살았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2

오늘 시골동네 한 바퀴를 돌아다니는데 집집이 참깨 수확에 한창이다. 비가 오기 전에 부지런히 참깨를 베어서 말리고 털고 키질하여 검불을 날리고 작돌은 체로 쳐낸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3

팔순이 되신 할머니가 참깨를 다 털어낸 빈 깻단을 겨을에 메주 쑬 때 불쏘시개로 사용할 요량으로 빈깻단을 묶고 있다. 쏟아진 참깨 알은 다시 햇볕에 잘 말린 다음에 시장에 내다 팔기도 하고 도시에 사는 자녀들에게 양념으로 보낸다. 농촌에 수확 철이 다가오면 택배 회사가 덩달아 바빠지는 이유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4

여름내 약통을 짊어지고 다니던 농부의 고추밭에도 고추가 꽃처럼 빨갛게 익어간다. 고추는 소독을 열흘에 한번씩은 해야 탄저병을 막을 수가 있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햇볕에 고추를 말리고 그렇지 않은 날엔 고추건조기에 말린다. 햇볕에 말린 고추는 고추 꼭지가 노란색을 띠고 쪄서 말린 것은 꼭지가 푸른색이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5

물 고추를 처음에 햇볕에 내다 말릴 때는 2일간은 검은 망사를 씌워서 말려야 햇볕에 익어서 하얗게 탈색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귀촌 초기에 태양 고추 말린다고 태양아래 바로 말렸더니 고추가 하얀색으로 변하는 바람에 적잖이 실망한 적이 있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6


이틀 정도 차광막 씌워서 수분이 적당히 빠져나간 고추는 햇볕에 완전히 노출해서 말리면 고운 고추색깔을 띄게 된다. 고추를 살 때 일반고추와 청양고추 2가지를 사서 고춧가루를 빻으면 적당히 맵고 칼칼한 맛을 즐길 수가 있다. 요즘 예산군 오일장인 읍내 장날에 공설운동장 새벽시장(5~6시)에 오면 물 고추를 팔러오는 농업인들과 고추를 사러 오는 사람들을 볼 수가 있다. 예산 5일 읍내 장날에서 산 마른 고추를 인근 방앗간에서 빻아 가는 도시소비자들도 있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7
 
추석을 한 달 앞두고 눅두콩 수확이 한창이다. 작은 꼬투리 안에 쥐똥만 한 연둣빛 녹두 콩은 이른봄에 심어서 가장 먼저 수확하는 콩 중에 하나다. 추석 때 물에 불려 믹서기에 달달 갈아서 빈대떡을 구워 먹을 수가 있고 더러는 시루에 녹두 콩나물을 길러서 추석 손님상에 올려질 것이다. 계절에 따라 수확하는 농작물을 살펴보면 신기할 정도로 신비스럽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8

지금은 대추알 한개 깨어 물면 비릿한 맛이지만, 한달 후에 추석 제사상에는 붉은빛 도는 달콤한 대추가 올려질 것이다. 작은 몸집의 토끼 대가족도 더운 여름을 잘 이겨내고 수탉은 암탉들을 거느리고 여유만만한 깃털을 뽐낸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9

 

고구마 잎사귀는 밤이슬만 먹고도 그 세력을 확장해간다. 여름에 고구마순 따다가 껍질 벗겨 삶아서 나물 무치고 걸쭉한 된장찌개 한 그릇이면 보리밥 한그릇 꿀떡 넘어가던 그 시절엔 이웃간에 나눌 줄 아는 정이 있었다. 지나가는 동네사람 불러서 마루에 앉히고 보리밥 몇 숟가락 나누어 먹던 소박함이 있었다. 산중 오두막 살이 집에 찾아온 손님에게 내어준 호롱불 아래 작은 밥상에는 가지나물 외 몇 가지 반찬만으로도 청정한 공기 때문이었는지  꿀맛이었다.
 

한여름에참깨알쏟아졌네 10

옛날에는 콩알 서너 개 심어 까치나 비둘기가 한두 개는 먹고 나머지는 싹으로 자랐다고 하는데, 요즘은 새들도 영리해졌는지 남기지 않고 깡그리 다 먹어치운다고 한다. 그래서 농부는 애초에 콩을 싹 틔워 내다 심든지 아니면 독약을 콩에 발라 심는다. 요즘 농가에는 제초제를 뿌려서 풀하나 없는 집도 많다. 내게 이득이 안되면 모조리 없애야 한다는 생각이 사람들 정서속에 베여버린건 아닌지 되돌아 볼일이다.
 



 

 

 




 

 


 
 

도희님의 다른 기사 보기

[도희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