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충남의 작은 사찰 용담사, 천년의 흔적

2015.03.10(화) 21:39:08 | 지민이의 식객 (이메일주소:chdspeed@daum.net
               	chdspeed@daum.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작은 사찰이지만 그 역사가 천년이 넘은 곳이 있다. 아산 평촌리에 있는 용담사는 신라 애장왕때 원효가 처음지었고 고려 광종 때 혜명조사가 다시 건립한 절이지만 지금은 그 터에 다시 절의 모습을 되찾고 있는 상태이다. 

아산의 용담사뿐만이 아니라 달성의 용연사, 대구의 파계사, 하동의 상계사, 함양의 용추사, 청도의 적천사가 사연을 가지고 있다. 상당수의 사찰들이 절 주변에 맑고 깨끗한 물이 흐르고 있는데 이는 흐르는 물이 생명을 유지하고 삼라만상을 기른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다.
 

용담사 대웅전

▲ 용담사 대웅전


옛 절터위에 다시 지어진 대웅전도 시간이 흐르면 옛스러운 모습을 갖추게 될 것이다.

좋은 물이 있는 곳이 바로 좋은 땅이었고 맑은 물이 고인 소나 담이 있는곳에 절이 세워진 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다. 특히나 절에서 오랜 세월을 수행해온 스님들들에게는 줄 주변에 흐르는 계류는 신성하게 생각되어 왔다.

스님들이 묵는곳

▲ 스님들이 묵는곳


원효대사는 수행하면서 도량을 창건하였다. 아산 용담사와 웅장한 대웅전이 있는 수덕사, 대둔산의 태고사, 진락산의 원효암, 현암사는 원효대사의 손길이 닿은 절이다. 새롭게 지은 건물들이 소박하며서 친근해서 좋다.
 

지민이의 식객님의 다른 기사 보기

[지민이의 식객님의 SNS]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hongdae
  • 트위터 : www.twitter.com/chdspeed
  • 미투 : chdspeed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