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도정뉴스

도내 석면건강피해자 282명 구제 나서

道, 석면피해인정 절차 지원·폐석면광산 주변 건강검진 병행

2013.09.02(월) 16:57:11 | 충청남도 (이메일주소:chungnamdo@korea.kr
               	chungnamdo@korea.kr)

충남도는 올해 상반기 동안 폐석면광산 주변지역 주민 등을 대상으로 석면건강피해자 찾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피해자와 유족 등 282명을 발굴했다고 2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석면건강피해자 찾기 운동은 석면피해자가 대부분 고령이거나 거동불편자, 혹은 정보소외계층임을 고려해 잠재적인 석면피해자를 찾아내 구제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로 2011년부터 실시중이다.
 
도는 상반기 석면건강피해자 찾기 운동의 적극적인 전개로 악성중피종과 폐암을 앓고 있거나 사망한 사람의 유족 282명(생존자 228명, 특별유족 54명)을 찾아 한국환경공단 석면피해구제센터에 통보했다.
 
현재 도내 석면건강피해자와 그 유족 282명에 대한 석면피해인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도는 이와 함께 도내 폐석면광산 주변지역 반경 2㎞이내 거주민 등 2048명에 대해 건강검진을 실시했으며, 이와 별도로 폐석면광산 주변지역 8개 학교 학생 및 교직원 1500명에 대한 건강영향조사도 함께 실시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폐석면광산 주변지역 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조사 결과 석면피해자로 인정된 400여명에 대해서는 요양생활수당, 요양급여, 장의비, 특별유족조위금 등 구제급여액을 지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충남지역 폐석면광산은 25곳으로 이중 7개 지역에 대해서 토양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석면으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협의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석면은 1급 발암물질로 주로 호흡에 의해 10~4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 및 악성중피종 등을 유발시켜 지난 2009년 1월부터 건축물 등에서의 석면사용이 원천 차단됐다.
 
도는 석면비산에 의한 도민 건강피해 예방을 위해 노후슬레이트 지붕의 철거·처리 사업으로 올해 말까지 2623동에 대해 6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충청남도님의 다른 기사 보기

[충청남도님의 SNS]
  •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echungnam
  • 트위터 : asd
  • 미투 : asd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