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연사 소개

프로그램

연사 소개

기조연설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토마스 프레이 (Thomas Frey)
    소속 및 직함
    미국 퓨처리스트 스피커 설립자 겸 총괄이사
    약력
    Futurist Speaker Inc. 창립자 & 총괄이사 (2022-현재) 다빈치 연구소(DaVinci Institute) 창립자 & 총괄이사 (1997-2022) 구글 선정 ‘최고의 미래학자’ IBM 최다 수상 엔지니어 (1976-1991) The Futurist 매거진 혁신 담당 편집자
    초록
    충청남도의 베이밸리는 이제 농업 로봇(Ag-bots)과 해양 로봇(Ocean-bots)의 발상지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습니다.
    앞으로 베이밸리는 출산율 감소로 인한 인력 부족을 보완할 로봇 기술의 시험장이 될 것이며, 대한민국은 이를 기반으로 자율적 생활(Autonomous Living)을 선도하게 될 것입니다. 더불어 혁신적인 벤처 스튜디오 실험은 차세대 기업 리더십과 새로운 산업 모델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조연설
    메가리전의 시대 : 한국형 메가리전 비전

사례발표 1 중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주융후이 (Zhu yong hui)
    소속 및 직함
    중국 광둥성 발전개혁위원회 주임
    약력
    중국 광둥성 웨강아오 대만구 건설 추진 지도소조 판공실 주임 (2021-현재) 중국 웨강아오 대만구 건설 업무 담당 (2017-현재) 중국 광둥성 발전개혁위원회 (2013)
    세션 1. 사례발표 1 - 중국
    웨강아오대만구(GBA) 혁신 거버넌스와 초광역 경제권 성공 요인

사례발표 2 일본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야마시타 마코토 (Yamashita Makoto)
    소속 및 직함
    일본 나라현 지사
    약력
    일본 나라현지사 (2023-현재) 일본 이코마시장 (2006-2015) 변호 등록 (2000)
    초록
    간사이 광역연합은 중앙집권 체제와 도쿄의 일극 집중을 타파하고, 지역의 자기 결정과 자기 책임을 관철할 수 있는 분권형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2010년 12월에 설립되었습니다. 본 연합은 국가의 권한을 이양받아 국가와 지방 간의 이중 행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카운터파트 방식으로 재난지역을 지원하고, 닥터헬기를 활용한 광역 응급의료 체계를 제공해왔으며,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는 「간사이 파빌리온」을 설치하여 간사이 지역의 산업과 매력을 널리 알리는 등 다양한 광역 행정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세션 1. 사례발표 2 - 일본
    간사이 광역연합 활동 개요

패널토론 좌장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김순은 (Kim Soon-eun)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특임교수
    약력
    서울대 행정대학원 특임교수 (2023-현재)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제1기-제3기, 대통령위촉) (2019-2022) 강원특별자치도 전문가 자문단 자문위원장 (2022-2023)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부위원장 (2018-2019)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2012-2020) 서울특별시 지방분권협의회 위원장 (2016-2019)

발제 한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양갑용 (Yang, Gab Yong)
    소속 및 직함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약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2019-현재)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연구실장 (2012-2018) 한국외대 중국연구소 책임연구원 (2012-2012)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2008-2012)
    초록
    환황해권은 동아시아 주요 경제국가인 한국, 중국, 북한 그리고 일본 큐슈 지역에 이르는 동아시아의 내해입니다. 이 내해를 중심으로 한국, 중국, 북한, 일본이 상호 경쟁을 펼쳐나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때로는 갈등, 때로는 협력이 공존하는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역내 국가 특히 지방정부가 직접 나서서 지방외교를 투사함으로써 국가 대 국가 간 갈등과 분쟁을 완화할 수는 없을까요?
    세션 2-1. 발제 - 한국
    환황해권 지방외교와 협력 중요성

발제 한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이성우 (YI Seongwoo)
    소속 및 직함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약력
    경기연구원 북부발전연구실 연구위원 (2019-현재) 경기연구원 글로벌지역연구실 실장 (2023-2025) 제주평화연구원 연구위원 및 연구실장 (2007-2019)
    초록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의 이익을 위해 규칙기반 국제질서의 종식을 선언하였으며,미중 전략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한미일 vs 북중러 대결구도와 동맹의 선택의 부각되고 있습니다. 국가발전 뿐 아니라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류와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한국의 주도적 외교의 프레임 전환을 위해 한중일 지역경제협의기구 구동, 지방정부 차원에서 한국의 서해안과 중국의 동해안, 일본의 규슈 지역의 도시협의체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세션 2-1. 발제 - 한국
    지방외교, 투자 통상 외교 등을 활용한 협력 방안

발제 중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왕월청 (Wang Yueqing)
    소속 및 직함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부원장 겸 교수
    약력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부원장 (2021-현재) 중국 남경대학교 사회과학계획처 처장 (2012-2021) 중국 남경대학교 철학학과 교수, 선전부 부부장 (1994-2012)
    초록
    중국 장강삼각주지역에는 상해시,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이 포함되고, 인구수는 2 억 3500 만명으로 중국에서 가장 방대한 도시밀집 지역입니다. 중국 국토의 4% 도 되지 않는 장강삼각주는 중국 GDP 의 4 분의 1 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8 년, 장강삼각주지역 통합발전은 중국 국가 전력으로 격상되었습니다. 인문경제학을 연구하고 높은 품질의 발전을 위한 신동력 활성화 방안은 지역의 현대화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심화되고 변화해야 하는 주요 이론적, 실전적 과제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관점에서 장강삼각주의 고품질 통합 발전을 모색하고 우리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 고지와 장강삼각주의 인문경제발전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세션 2-1. 발제 - 중국
    인문경제를 동력으로 장강삼각주지역의 높은 질적 통합발전

발제 중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공보성 (Gong Baocheng)
    소속 및 직함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주임
    약력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외사 사무실 (학술 교류 사무실) 주임 (2023-현재)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금융연구원 연구원 (2017-2023) 한국 동명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조교수 (2015-2017)
    초록
    장수성은 중국의 대 한국 무역에서 제일 큰 성이고 한국의 대 중국 투자에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쌍방의 경제무역 교류와 인적 왕래가 날로 밀접해지고 있습니다. 강소성과 충청남도는 우호교류가 오래되고 경제 상호보완성이 강하며 인문교류가 활발하고 협력공간이 넓습니다. 한중 경제 협력에 참여하는 장수성의 장점은 산업과학기술 협력, 경제무역협력, 한증산업단지 등 우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수성과 한국이 손잡고, 양국 정상이 이룬 중요한 공감대를 충실히 이행하고, 상호 방문과 교류를 더욱 긴밀히 이어가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양측은 발전 전략의 연계를 강화하고, 산업 협력을 한층 더 심화하며, 투자와 무역을 적극 촉진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사회·인문 분야의 교류도 확대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이를 통해 장수성과 한국이 보다 많은 제도적 협력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함으로써,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지속적인 발전에 새로운 원동력을 불어넣기를 희망합니다.
    세션 2-1. 발제 - 중국
    장수성의 한중 경제협력에 참여하는 장점과 전망

발제 일본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마쓰무라 아키히로 (Matsumura Akihiro)
    소속 및 직함
    일본 시즈오카현 지역외교담당참여관
    약력
    일본 시즈오카현 지역외교참여관(국장) (2023-현재) 일본 지역외교국 국장兼디지털추진관 (2022) 일본 누마즈재무사무소 소장 (2021) 일본 스포츠〮문화관광부 참사 (2020)
    초록
    「지역외교」 는 2010년 시즈오카현이 일본에서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지역을 하나의 ‘국가'로 바라보는 외교적 접근입니다. 지역이 교류 상대와 상호 신뢰 관계를 쌓아감으로써, 국가 간 관계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방 차원에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시즈오카현은 현재 6개 국가·지역을 중점 교류 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교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환황해 포럼에서는 특히 한국과 중국과의 협력 내용을 중심으로 발표합니다.
    세션 2-1. 발제 - 일본
    시즈오카현의 지역 외교: 지역만이 할 수 있는 일

패널토론 좌장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박흥순 (Park Heung-Soon)
    소속 및 직함
    유엔한국협회 부회장
    약력
    유엔한국협회 부회장 (2010-현재) 한·중·일 유엔협회포럼 한국대표 (2010-현재)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 교수, 명예교수 (1995-현재)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2003-2018)

주제강연 및 창업팀 멘토링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릭 라스무센 (Rick Rasmussen)
    소속 및 직함
    미국 UC 버클리대학교 SCET 산학연계 참여 연구원
    약력
    미국 UC 버클리대학교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CET 산학연계 참여 연구원 산타클라라 대학교 & 샌호세 주립대학교(San José State University) 임명 교수 글로벌 혁신 생태계 자문 및 개발 (20여 개 국가 및 국제·지역 정부, 기관 대상) 국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운영 및 다수 자문위원회 활동 전 세계 1,500여 개 스타트업 멘토링 실리콘밸리 기업가: 5개 기업 IPO 참여 및 3개 기업 10억 달러 규모 엑시트 달성 액셀러레이터 협력: 12개 이상 글로벌 프로그램과 긴밀히 협력
    세션 2-2. 주제강연
    전세계 스타트업 동향 및 실리콘밸리 창업 교육
    창업팀 멘토링
    1:1 멘토 미국 3개 회사 기업 경영진으로 활동, 총 19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 창출 정부 및 경제 개발 기관 자문 등 글로벌 창업 생태계 조성

패널토론 및 1:1 IR 투자 매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송인범 (Eric Inbuem Song)
    소속 및 직함
    미국 G6 Global 파트너
    약력
    2023 및 2025 WKBC 1:1 투자 매칭 주관 G6 Global 스타트업 실리콘밸리 제1호 쇼룸(POC 및 워크숍 포함) 공동 파트너 재미한인상공회의소연합회(KACCUSA) 회원혜택위원회 위원장 겸 디렉터 (2021-현재) 재미한인상공회의소연합회 남가주지부(SCCKACC) 수석부회장 (2019-현재)
    1:1 IR 투자 매칭
    사회자 미국 G6 Global 파트너, 실리콘밸리 Santa Clara 무역관 운영 미국 실리콘밸리 내 POC 관련 지원 및 대형 IT 기업 Network 연결

패널토론 및 1:1 IR 투자 매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방호열 (Hoyul Bang)
    소속 및 직함
    미국 G6 Global 대표
    약력
    CEO, G6 Global @ 실리콘밸리 (2020-현재) 미국 한인상공회의소 창업·벤처캐피털 포럼 위원장 (2022-현재)
    제21차 세계한상대회 @ 애너하임 (300개 한국 스타트업 지원), 제23차 세계한상대회 @ 애틀랜타 (226개 한국 스타트업 지원)
    실리콘밸리 산타클라라 카운티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2021-2024) 데이터 저장장치 엔지니어링 및 설계 (Custom ASIC(I52 수상), 하드웨어 설계) (1985-2024)
    1:1 IR 투자 매칭
    미국 투자 자문가 미국 내 투자 & POC 마케팅 지원, 창업교육, B2G 공공조달 연결, 실리콘밸리내 법인 지원 미국 실리콘밸리, California 주재

    # AI & IT 기술

    # 푸드 테크

    # 친환경

    # 건축자재

    # 배터리

패널토론 및 1:1 IR 투자 매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썬 박 (Sun Park)
    소속 및 직함
    미국 세계한인무역협회(World OKTA) 애틀란타 회장
    약력
    2023 및 2025 WKBC 1:1 투자 매칭 주관 세계한인무역협회(World OKTA) 창업지원운영위원회 위원장 (2025-현재) 세계한인무역협회(World-OKTA) 애틀랜타 지회장 (2025-현재) 조지아-애틀랜타 한인상공회의소(Korean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GA-ATL) 회장 (2022-2023)  Anteater Pest Control, Inc. 대표 (2005-현재)
    초록
    오늘날 한국에서 스타트업이 중요한 이유, 그리고 한국 정부가 성공을 위해 어떤 전략을 펼치고 있는가
    대한민국은 스타트업을 혁신, 경제 회복력, 그리고 글로벌 리더십의 핵심 동력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의 전략은 탄탄한 자금 지원, 인재 유치, 글로벌 진출, 그리고 기존 기업과의 협력까지 아우르는 포괄적 접근을 포함하며, 스타트업을 한국의 미래 성장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1:1 IR 투자 매칭
    미국 직접 투자, IR & POC 자문가 미국 Asia2Global Capital 투자자, Private Investor 미국 Atlanta Georgia 주재

    # AI 관련 기술

    # Deep Tech

패널토론 및 1:1 IR 투자 매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박용국 (Yong K. Park)
    소속 및 직함
    미국 Blue Apple Asset 파트너
    약력
    Koolute LLC – CEO (2025–현재) Renaissant Partners LLC, 시니어 파트너(투자 부문) (2024-현재) Blue Apple Asset Management LTD, 부사장 겸 국제마케팅총괄 (2023-현재) Asia 2 Global (실리콘밸리 VC), 리미티드 파트너 어드바이저 – 한국 스타트업 미국 진출 지원 (2022-현재) 재미한인상공회의소 미주총연(KACCUSA), 부회장 – 미주 79개 지부 관리 및 한·미 비즈니스 네트워킹 주도 (2022-2024) 재미한인상공회의소 워싱턴주(KACCWA), 회장 – 한인 비즈니스 성장 지원 및 한·미 교류 강화 (2022-2024) INNODEN LLC, 창립자 – 의료·치과 장비 수입업 운영(2024년 GS International에 매각) (2010-2024) WA Dental Group (WDG), 창립자 – 미국 내 최대 규모 한인 소유 치과 그룹 (워싱턴주 22개 지점 운영) (2001현재)
    1:1 IR 투자 매칭
    미국 직접 투자, IR & POC 자문가 미국 내 직접 투자자, Seattle Washington state 주재

    # BIO

    # MEDICAL

    # AI 기술

패널토론 및 1:1 IR 투자 매칭

  • 초청연사 이미지
    성함
    남승일 (Nam Seung il)
    소속 및 직함
    충남벤처협회 회장
    약력
    2023년 및 2025년 세계한상대회(WKBC) 1:1 투자 매칭 성공적 리더십 실리콘밸리 G6 Global 스타트업 첫 쇼룸 파트너(POC 및 워크숍 진행) 미주한인상공회의소(KACCUSA) 회원복지위원회 위원장 및 이사(2021-현재) (사)충남벤처협회 회장 (2019-현재) 산타클라라 카운티 한인상공회의소(SCCKACC) 수석부회장(2019-현재)
    1:1 IR 투자 매칭
    미국 직접 투자, IR & POC 자문가 충남 벤처협회 회장, JB Ventures 대표이사 충남지역 창업 생태계 조성 지원, 한국(천안) 주재

    # AI & IT 기술

    # 푸드 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