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충남 서천읍성과 서천향교 문화재 여행

2021.11.18(목) 23:40:42 | 마패 (이메일주소:faron@hanmail.net
               	faron@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남의 최남단 서천시 서천읍 서천여자고등학교 뒷산에 자리잡은 조선시대에 서천읍을 방어하던 서천읍성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32호로 지정되어 보호 하고 있는 곳이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

서천읍성은 1438년인 세종20년과 1450년 세조32년 사이에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의 성은 1715년 숙종 41년에 다시 쌓은 것으로 처음 쌓은 곳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면서 규모가 확장되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는 한편 군사 및 행정기능을 담당했던 군사시설로 서천읍성은 서해안으로 침입해 오는 왜구들로부터 양민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선 초기에 쌓은 성이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3

돌로 쌓은 서천읍성은 읍 전체를 둘러싸고 군데군데 문을 만들어 바깥과 통하게 만든 성으로 성벽의 길이는 1,645m, 높이는 3m로 조성되었는데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둘레는 1,190m 정도 이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4

서천읍성은 성벽밖으로 돌출되게 쌓은 치성이 16개 이고 문터가 3곳이 있었고 성벽은 외벽만 돌로 쌓고 내벽은 흙과 돌을 섞어 쌓아서 견고하게 하고 성밖에는 해자시설이 남아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5

전설에 의하면 여자 100명이 성을 쌓고, 장사 1명이 홍여다리를 쌓는 내기를 하였는데, 여자들이 성을 다 쌓고 즐거운 함성을 지를 때 장사가 마지막 돌을 끼워서 똑같은 시간에 쌓아서 무승부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6

서천군청에서 서천향교 넘어가는 산언덕에 자리잡은 동문지 자리에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천읍성 동문지 및 성벽정비사업을 완료하여 서천읍성 동문이 복원되어 사람들을 반기고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7

서천읍성 동문이 복원이 되었으나 이곳에 접근하기 위한 도로와 주차장이 완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 좁은 골목길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서천군청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안전하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8

■ 서천읍성 동문지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32호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군청로54번길 33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9
 
서천읍성이 자리잡은 동쪽 편에 자리잡은 서천향교는 조선에 향교가 처음 세워지기 시작한 1413년(태종 1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0

서천향교의 기록에 의하면 756년(경덕왕 15) 처음으로 문산면 문장리 향교골 돌고개 쪽에 암자 형식으로 세워졌다가 1314년(충숙왕 1) 서부면 동조리로 이건하였으며, 1413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전한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1

서천향교에는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내삼문 외삼문 홍살문·수복청 등이 있고, 홍살문 밖에는 하마비가 세워져 있어서 향교안에 말을 타고 들어갈수 없음을 알리고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2

건축형태는 앞쪽에 학문을 배우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로 조성되었는데 대성전 좌우에 조선시대와 고려시대 성현들의 영정을 모신 동무와 서무가 자리잡고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3

서천향교 내삼문을 들어서면 가운데 대성전이 자리잡고 있는데 대성전은 맞배지붕을 올린 기와목조건축물로 전면3칸 측면 2칸의 건축물로 조성되어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4

대성전에는 유교를 처음 주창한 유교의 시조로서 중국 최초의 민간 사상가로 세계 4대성인에 손꼽히는 공자를 비롯한 맹자 순자 자사 증자 등 유교 5성의 위패와 공자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5

공자의 영정과 유교 오성의 위패가 모셔진 대성전 내부를 들여다보면 들보와 서까래가 자연 그대로의 나무형태를 유지하고 사용되어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어서 한옥의 멋을 보여주고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6

서천향교는 다른 지역의 향교들과 다르게 대성전 앞에 별도의 건축물을 조성하여 동무와 서무라고 칭하고 유교 18현의 영정과 위패를 모셔서 대성전에 모셔진 오성과 구별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는 모습이 눈길을 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7

대성전 오른편에 자리잡은 동무에는 신라십현이자 신라3문장으로 손꼽히는 설총과 문성공 안향을 비롯하여 조선시대 유교를 이끈 김굉필 조광조 이황 이이 김장생 김집 송준길 등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져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8

대성전 왼편 서무에는 신라의 학자이자 문장가로 문묘에 배향된 최치원과 주자학을 집대성한 주희를 비롯하여 고려와 조선시대 유교를 이끈 정몽주 정여창 이언적 성혼 조헌 등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져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19

대성전 뒤편 뜰 좌우에는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제의 의해서 민족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심은 벚꽃나무 고목이 쓰러져 있어서 일제식민지의 잔재로 남아서 일제의 만행을 증명해 주는 것만 같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0

언덕위에 조성된 서천향교의 돌계단을 따라 올라가 외삼문을 들어서면 향교에서 공부하던 학생들의 교실로 사용되었더 명륜당이 나오는데 팔작지붕을 올린 기와목조건축물로 전면 4칸 측면 2칸 크기로 조성되어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1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2

서천향교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3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교1명과 장의 두어 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3

서천향교에는 공부자성적도, 존화록, 속자치통감강목, 선무원종공신록, 서천군선생안, 동사회강목, 대전속록 등을 소장하고 있어서 역사적 기록으로 보존하고 있다.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4

■ 서천향교
충청남도 기념물 제130호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충남서천읍성과서천향교문화재여행 25

 

마패님의 다른 기사 보기

[마패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