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박물관 기행 "조선통신사, 사진으로 만나다" 충남역사박물관 특별전시

2021.05.27(목) 17:52:44 | goood33 (이메일주소:goood33@hanmail.net
               	goood33@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

박물관 여행은 언제나 기대감이 높은 것 같습니다.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산하 충남역사박물관에서 "조선통신사, 사진으로 만나다"라는 뜻깊은 야외 사진 전시를 하고 있어서 찾아갔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2

충청남도역사박물관은 충남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충남의 문화유산을 활영한 프로그램 운영과 다양한 전시로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3

야외지만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은 필수입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4

이번 전시는 "조선통신사, 사진으로 만나다"이며 Section 1. 조선통신사와 충남, Section 2. 조선통신사의 묵향, Section 3. 축제 속 조선통신사 등 3개의 주제로 전시하고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5

통신사는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된 공식적인 외교 사절단으로 신의로써 교류하는 사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통신사 파견은 조일관계가 우호적으로 유지되는 데에 기여를 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6

Section 1. 조선통신사와 충남에서는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 김이교에 대한 이야기와 죽당 신유 인장, 이달의 공주 역사 인물 등 다양한 소재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7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 죽리 김이교인데요. 1810년 통신사 정사에 임명되어 통신사의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김이교의 묘소는 충남 예산군 신양면에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8

소중한 자료인 죽당 신유 인장도 사진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신유는 1643년에 통신사 종사관이 되어 일본을 다녀온 뒤에 해사록을 지었으며 인장은 기탁한 유물입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9

우측에 Section 2. 조선통신사의 묵향에서는 조선통신사들의 일본에 남긴 글씨와 편액 등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0

동해명구와 흥국 등 조선통신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쓴 글씨를 편액해서 청견사 본당과 총문에 걸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1

을미사행에 참여했던 종사관 호곡 남용익이 쓴 글씨와 정미사행에 참여했던 정사 여우길, 부사 경섬, 종사관 정호관이 청견사 앞 해안 유람을 한 후 감상을 적은 글을 편액해서 본당에 걸어 놓았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2

이처럼 Section 2. 조선통신사의 묵향에서는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으며 통신사들의 글씨가 일본에 전해져서 다양한 교류를 했다는 것 을 알 수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3

Section 3. 축제 속 조선통신사에서는 그동안 한국과 일본에서 열렸던 축제 현장을 비록 사진이지만 비대면으로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4

2019 일본 시즈오카 토쇼구에서 개최된 "조선통신사 재현 행렬"에서 조선통신사 충청남도 연구회 회원들이 조선통신사 정사와 부사, 종사관 복장으로 행사에 참가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5

2004년 시모노세키 바칸축제 사진과 2019 조선통신사 충청남도 연구회 동조궁 행사 모습입니다. 마치 그 당시 조선통신사들이 공식행사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는 것처럼 다가왔습니다.

박물관기행quot조선통신사사진으로만나다quot충남역사박물관특별전시 16

충청남도 연구회뿐만 아니라 부산 통신사 축제를 연도별로 볼 수 있는 사진전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충남역사박물관 특별전시를 비대면 여행으로 추천해 봅니다.
 

goood33님의 다른 기사 보기

[goood33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