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서산 지곡면에 만나는 조선의 화가 안견

2020.01.24(금) 11:38:00 | 연주의 꿈꾸는 다락방 (이메일주소:yeonju7890@naver.com
               	yeonju7890@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지곡면은 서산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면입니다. 서산 육쪽마늘이 유명하기도 한 그곳에는 조선 전기의 화가 안견을 기념하여 세운 안견기념관이 있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 지금은 지곡면이라고 부르는 곳이지만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54개국 중의 하나인 치리국국(致利鞠國)이었으며, 삼국시대에는 지육현(知六縣)으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역사속에서 꿈을 그림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안견의 몽유도원도가 있습니다.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는 약 18만 2천여 점 중 가장 많은 숫자인 7만 6천여 점이 일본에 있는데, 그중 하나가 몽유도원도입니다. 무언가 아쉬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1

비가 오는 날이어서 그런지 날이 잔뜩 찌푸려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곡면은 무척이나 평온한 곳입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2
 
1447년 4월 20일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이 도원을 꿈꾸고 나서 안견에게 설명하여 그리게 했던 몽유도원도는 왼편 하단부의 현실세계를 보여주는 야산에서부터 오른편 도원의 세계에 이르기까지의 전체적인 경관이 짙은 안개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듯하면서도 서로 잘 조화된 것이 특징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3
 
서산여행은 모바일앱으로 해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앱을 다운받으면 모바일앱 여행을 해볼 수 있습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4
 
충남 서산에는 자리한 안견기념관은 크지는 않은 규모지만 안견의 작품과 그의 이야기가 그림을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한국적 산수화풍을 창출한 조선시대 최고의 화가로 그림 그리는 일을 담당하던 관청인 도화원(성종 때 도화서로 개칭)에 소속된 화원이었던 그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르네상스형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5
 
확실한 안견의 작품으로 인정받는 것은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에 있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6

일본에 원본이 있는 몽유도원도에는 안평대군의 발문(跋文)과 시문 이외에도 정인지, 신숙주, 박팽년, 서거정, 성삼문 같은 당시의 쟁쟁한 문사들의 찬시가 곁들여 있습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7
 
“우리 조정에 유명한 화가 한 사람이 있는데, 안견이라 한다. 성이 총민하고 정박(精博)하며, 옛 그림을 많이 보아 그 요체를 모두 얻고 여러 대가들의 좋은 점을 모아 총합하고 절충하였다. 옛것으로부터 빌었지만 그와 필적할 만한 사람은 얻기 어렵다.” - 신숙주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8
 
안견기념관에 자리한 몽유도원도는 원래 크기보다 3배 정도 확대해서 표현한 작품이었습니다. 특이하면서도 독특하게 뻗어 있는 산세, 복숭아 꽃밭이 늘어선 갈래길, 먼 산을 감싼 안개 등 꿈속 환상의 세계가 몽환적이고도 고요하게 표현되었는데 왼편 하단부부터 오른편 상단부로 대각선을 따라 전개되는 방식을 취했다고 합니다. 왼편은 현실 세계, 오른편은 꿈속의 도원경입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9
 
르네상스에 예술이 꽃을 피울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후원자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타고난 재능을 가진 안견은 안평대군이 후원자였다고 합니다. 시와 글씨, 그림에 능했고, 중국 고전 회화에 박학했던 안평대군은 그를 아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산지곡면에만나는조선의화가안견 10
 
해뜨는 서산의 중심 지곡이라는 곳에서 만난 안견이라는 화가의 작품은 여전히 걸작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1995년 서산군과 서산시의 통합에 따라 서산시 지곡면에는 안견기념관 외에도 문화재로 중요민속문화재인 정충신 장군 유품,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부성사(富城祠), 정충신사당, 정충신묘가 있으며, 그 이외에 서산 산성리성지가 있습니다.
 

연주의 꿈꾸는 다락방님의 다른 기사 보기

[연주의 꿈꾸는 다락방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