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피톤치드 힐링, 보령 성주산 편백나무 숲

2018.09.17(월) 20:01:14 | 수운 (이메일주소:hayang27@hanmail.net
               	hayang27@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보령 성주산 휴양림 편백나무 숲
▲ 보령 성주산 자연휴양림 편백나무 숲


하늘을 찌를 듯이 우뚝 솟아 있는 침엽수림이 눈 앞을 딱 막아 섭니다. 편백나무 표면이 붉게 빛을 내고 있어서 신비스럽기조차 한데요. '이거 북유럽의 산 속 풍경 아니냐'고 물어볼 정도로 한국의 산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운 장면입니다. 숲 속 밴치에 앉아서 편안하게 자연을 즐기는 모습은 누가 봐도 부러운 광경입니다.
이렇게 훌륭한 명품 편백나무 숲이 있는 곳은 바로 보령의 대표적인 산인 성주산에 있는 성주산 자연휴양림입니다.


보령 성주산 휴양림 편백나무 숲
▲ 보령 성주산 휴양림 편백나무 숲

부여나 청양에서 대천으로 들어가는 길은 큰 산이 가로막고 있고, 성주터널과 청라터널이 뚫려 있습니다. 성주산은 부여의 만수산과 이어져 있는 차령산맥의 험준한 능선 끝부분이라고 하겠습니다. 과거 석탄 광산이 호황일 때 지나가는 강아지도 만 원짜리를 물고 다녔다는 성주리 탄광촌과 석탄박물관을 지나 성주산의 깊은 골짜기로 들어갔습니다.

보령 성주산 휴양림 입구
▲ 보령 성주산 자연휴양림 입구

아름드리 소나무가 입구를 장식하고 있는 성주산 자연휴양림은 한동안 내리던 비에 손님이 뜸하더니 가을 날씨가 완연해지면서 점점 더 많은 분들이 찾고 있습니다. 주말이면 계절에 따른 산을 즐기는 분들이 가득하고, 여름철엔 야영장과 물놀이장을 찾은 가족 나들이객들로 계곡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를 이룹니다. 가을 단풍이 성주산 계곡을 내려오기 시작하면 울긋불긋 배낭을 짊어진 나들이객들이 몰려드는 보령의 명소입니다.

보령 성주산 휴양림 안내도
▲ 보령 성주산 자연휴양림 안내도

성주산 자연휴양림은 1993년 1월 1일에 개장하였고, 구역면적은 500만㎡, 1일 수용인원은 1,000명이라고 합니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한 산림과 기암괴석, 맑은 계곡이 절경이 이루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성주산 자연휴양림을 더욱 유명하게 하는 것은 편백나무 숲입니다.

매표소를 지나면 개울 가에 보이는 곳은 제2야영장입니다. 성주산 자연휴양림에는 두 곳의 야영장이 있는데요. 나무 데크로 설치되어 있어서 텐트를 치기도 좋고, 낮시간 나들이라면 돗자리를 깔고 쉬기도 좋습니다. 제1야영장은 휴양림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고 대형데크 8개, 소형데크 3개가 있습니다. 제2야영장은 초대형, 대형, 중형, 소형이 다양하게 40석 갖추어져 있습니다. 전기나 샤워시설은 제2야영장에만 있는데요. 예약은 전월 1일 아침 9시부터 할 수 있습니다. 선선한 바람이 불면서 캠핑객들이 몰리면서 주말에는 빈 데크를 찾기 힘들 정도랍니다.

성주산 휴양림 야영장
▲ 성주산 자연휴양림 야영장

여름이면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물놀이장입니다.  지난 여름 한창 더울 땐 손님들로 가득했었습니다. 아이들은 신나게 물놀이를 즐기고 어른들은 나무 그늘에서 편안한 휴식 시간을 갖습니다. 

야영장과 물놀이장을 지나 산 속으로 조금 더 들어가니 숲이 바짝 다가옵니다. 개울을 배경으로 사진도 찍는데요. 어느 곳에 서 있어도 배경 덕분에 인증샷이 됩니다. 사계절 경치가 다 아름다운 곳인데요. 개울가로 서 있는 홍단풍은 흡사 가을 분위기를 줍니다. 봄이 지나면서 개울에 물이 거의 줄어들었는데요. 장마가 지나고 한여름이 되면 맑은 개울물이 흘러 넘칠 것입니다.

휴양림 올라가는 길
▲ 성주산 자연휴양림 올라가는 길

성주계곡
▲ 성주계곡

자연휴양림의 길 끝에는 성주산 산림문화휴양관이 있습니다. 이곳은 자연휴양림의 사무실과 팬션시설이 위치해 있는데요. 4인실이 2개, 6인실이 2개 있습니다. 단체가 이용할 때는 이곳이 좋겠고, 가족들이 사용한다면 숲속의 집이 더 운치가 있겠어요.

산림 문화 휴양관
▲ 산림 문화 휴양관

산림문화휴양관 옆에는 휴양,치유 특성화 체험장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숲의 의미도 알아 보고, 다양한 나무와 약초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생일별 탄생목도 찾아 보고, 나무 샘플도 만져볼 수 있습니다.  특히 숲소리 듣기 코너에서는 조용한 속에서 편안한 숲의 소리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휴양 치유 특성화 체험장
▲ 휴양 치유 특성화 체험장



탄생목 알아보기
▲ 탄생목 알아보기

산림문화휴양관을 뒤로 하고 숲 속으로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나무가 울창한 숲 속에는 디딤석을 깔아 놓아서 걷기도 좋고  운치도 있습니다. 작은 길은 숲속의 집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곳을 지나 등산로를 통해 편백나무 숲으로 갈 수 있습니다.

성주산 휴양림 숲속의집
▲ 성주산 자연휴양림 숲속의집

울창한 침엽수림 속으로 집들이 보이는데요. 성주산 자연휴양림의 숲속의 집입니다. 마치 북유럽 숲속 모습 같은데요. 숲속의 집은 4인실 3개, 8인실 5개, 10인실 1개가 있습니다. 이 곳에서 하루 잘 쉬고 나면 자연적으로 힐링이 되겠어요.

숲속의 집
▲ 숲속의 집

산 속의 개울물이 졸졸 흐르는 나무 다리를 건너면 숲 속으로 오르막이 가팔라집니다. 활엽수와 소나무가 혼재되어 빽빽하게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여름철엔 습도가 높았는데 가을이 오면서는 상쾌한 느낌이 듭니다.  

편백나무 숲 올라가는 다리
▲ 편백나무 숲으로 가는 다리

오르막 돌계단이 끝나는 지점에 길을 막아서는 붉은색 나무가 보이는데요. 이 나무가 바로 편백나무입니다. 매끄럽게 쭉 뻗어 있고, 껍질은 얇게 벗겨져 있습니다. 이곳부터 편백나무 숲이 산 중턱으로 이어져 있어요.

편백나무 숲 입구
▲ 편백나무 숲 입구

조금 더 올라가자 숲 속의 눈에 보이는 곳에는 모두 쭉쭉 뻗은 편백나무가 서 있습니다. 불그스름한 나무의 빛깔이 은은하게 퍼져 있고, 상쾌한 향이 산에서부터 훅 끼치네요. 바로 편백나무 숲입니다.
편백나무는 일본어로 히노끼라고 하는데요. 원산지는 일본이라고 합니다.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 웰빙용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편백나무에는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공기정화도 해 주고 상쾌함을 느낄 수 있답니다. 편백나무의 향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기 때문에 베개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비염이나 천식에도 좋고 면역력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편백나무로 만든 유아용 욕조나 침대는 상당히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성주산 휴양림 편백나무 숲
▲ 성주산 자연휴양림 편백나무 숲

편백나무의 피톤치드는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서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주기 때문에 최근 주방의 도마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또한 벌레들이 싫어하는 향을 가지고 있어 편백나무 숲에 가면 모기나 파리가 없다고 하네요.

성주산 휴양림 편백나무 숲

편백나무 숲 사이사이에는 밴치나 데크가 설치되어 있어 편안하게 쉬어 갈 수 있습니다. 편안하게 앉아서 쉬기만 했는데도 건강에 좋다고 하니 건강을 위해서는 필수 코스라고 하겠네요.
편백나무 숲의 바닥은 울퉁불퉁 힘줄처럼 나와 있는 편백나무 뿌리들이 설켜 있습니다. 침엽수는 뿌리가 옆으로 뻗는 속성이 있어서 땅 위로 올라와 있는 뿌리를 볼 수 있습니다.

편백나무 뿌리
▲ 편백나무 뿌리

편백나무 숲에서 잠시 쉬면서 이런저런 일상의 생각들을 정리하고 내려오는 길, 쉬었다 내려오시는 어르신들을 만났습니다. 종종 이곳을 찾으시는데, 이곳에 오면 건강해지는 느낌이 든다고 하시네요.

편백나무 숲에서 내려오는 길
▲ 편백나무 숲에서 내려오는 길

성주산 자연휴양림 입장료와 시설이용료입니다. 물놀이장을 이용하시는 분은 입장료나 주차요금 정도면 하루를 쉬어갈 수 있고, 숲속의 집이나 산림문화휴양관도 적당한 금액이라고 하겠어요.

성주산 휴양림 입장료 및 시설 사용 요금 안내
▲ 성주산 자연휴양림 입장료 및 시설 사용 요금 안내

보통 '보령'하면 대천해수욕장을 생각하게 되고, 가족 나들이객은 조개 체험 등을 많이 떠올리시는데요. 보령의 훌륭한 자연 성주산을 배경으로 한 석탄박물관이나 성주리 탄광촌, 그리고 물놀이장과 편백나무 숲이 일품인 이곳 성주산 자연휴양림도 갈 만한 곳이라고 하겠습니다.


성주산 자연휴양림
찾아가는 길 :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화장골길 57-230  
문의 전화 : 041-930-3529
홈페이지 : http://seongjusan.brcn.go.kr/







 

 

수운님의 다른 기사 보기

[수운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