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가을이 오는 보령 무궁화수목원

무궁화를 보며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키워요

2018.09.13(목) 00:49:54 | 수운 (이메일주소:hayang27@hanmail.net
               	hayang27@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보령 무궁화 수목원 전시관 앞에는 무궁화 모양의 조형물이 있습니다. 멀리서 보았을 땐 공인줄 알았는데, 가까이에서 보니 무궁화를 단조로우면서도 아름답게 꾸며 놓았습니다.


보령 무궁화수목원


논산에서 보령으로 갈 때면 보령의 가장 큰 산 성주산을 지나가게 됩니다. 그 중턱 쯤에서 '보령 무궁화 수목원'이라고 진하게 글씨가 쓰여 있는 한반도 모양의 안내석을 보게 되는데요. 늘 지나면서 궁금했었는데, 드디어 '보령 무궁화수목원'을 탐방하게 되었습니다.
안내석 아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무궁화 꽃이 활짝 피어 탐방객의 마음을 즐겁게 해 줍니다. 다른 꽃도 아니고 나라꽃 무궁화가 이렇게 무리지어 피어 있는 광경은 참 보기 좋습니다.


보령 무궁화수목원 입구
▲ 보령 무궁화수목원 입구


주차장에서 반원 모양의 입구를 지나게 되는데요. 이곳은 작은 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정화연못을 따라 이어진 길 가로는 무궁화 꽃 뿐만 아니라 다양한 꽃들이 피어 있습니다. 처음 간 날은 비가 오락가락 하고 있어서 풍경을 제대로 보지 못했는데 다시 찾아서 천천히 감상을 해 보니 작은 꽃들이 비로소 보입니다.
처음엔 이 곳이 무궁화 수목원인 줄 알았는데 수목원은 이곳에서 긴 탐방로를 따라 걸어 올라가야 합니다.


보령 무궁화수목원 정화연못
▲ 보령 무궁화수목원 정화연못


무궁화 수목원 전시관으로 가는 길에는 나라꽃 정원과 지피 식물원이 있습니다. 눈에 띄지 않게 땅에 바짝 붙어서 살고 있는 작은 식물들도 많은데요. 각각 이름을 붙여 놓아서 이름을 부르며 길을 걷습니다.


나라꽃 정원
▲ 나라꽃 정원


중국의 고전인 시경에는 '군자의 나라에 목근화(木槿花)가 많다.'라고 전해지고, 우리나라를 근역(槿域)이라고 불렀답니다. 또한 얼굴이 예쁜 사람을 '안여순화(顔如舜花)'라고 했다고 하니, 무궁화를 얼마나 예쁜 꽃으로 생각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백색 홑무궁화
▲ 배달계 무궁화



홍단심계 무궁화
▲ 홍단심계 무궁화


온몸에 꽃가루를 잔뜩 묻히고 무궁화 꽃을 헤집고 있는 왕벌을 보았습니다. 무궁화꽃이 얼마나 예쁜지 하얀색 꽃잎과 가운데 붉은 무늬는 보는 내내 감탄을 자아내게 합니다.

유난히 아름다운 하늘 아래의 무궁화 수목원 전시관 전경입니다. 전시관 앞에는 아담한 키의 무궁화 화분들이 놓여 있고, 옆에는 무궁화 꽃 조형물이 있습니다.


보령 무궁화수목원 전시관
▲ 보령 무궁화수목원 전시관


김석겸의 시 '무궁화'를 새긴 시비가 무궁화 꽃을 배경으로 서 있어 이곳을 찾는 분들의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보령 무궁화 수목원에서는 보령 성주산 자연휴양림과 무궁화 수목원을 주제로 한 사진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가장 예쁜 무궁화를 찾아 사진으로도 남기고, 공모전에 응모해도 좋겠네요.


무궁화 전시관 무궁화비
▲ 무궁화 전시관 무궁화비


전시관으로 들어서자 숲해설가께서 무궁화 수목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십니다. 보령 무궁화수목원은 2008년 산림청 공모에서 뽑혀 국비와 지방비 등 108억을 투입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공사 기간을 거쳐 2017년 10월 12일에 개관하였습니다. 부지가 무려 239,723㎡나 된다고 하니 정말 넓습니다. 이곳은 무궁화를 중심으로 수목 유전자원을 수집, 증식, 보존, 관리 및 전시하고 나아가 그 자원화를 위한 연구기반 시설을 확보하는 등 스토리 테마형 수목원으로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무궁화 전시관 내부 숲해설가
▲ 무궁화 전시관 내부 숲해설가


무궁화 전시관 내부
▲ 무궁화 전시관 내부


전시관 안으로 들어서면 '우리가 몰랐던 무궁화 이야기'라는 주제로 무궁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우선 국가의 상징인 '무궁화'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느끼지 못할 만큼 많은 곳에서 무궁화가 사용되고 있고, 우리 주변에서 무궁화는 너무나도 익숙한 꽃이었네요. 또한 문헌 속 무궁화의 모습을 통해 우리 민족과 함께 동고동락했던 무궁화의 모습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무궁화 - 나라의 상징
▲ 무궁화 - 나라의 상징


우리 문화 속 삶과 예술에 녹아든 무궁화의 모습에서는 실제 생활에 활용되고 있는 무궁화의 모습을 담고 있고, 무궁화가 어떻게 우리 나라의 상징이 되었는지 무궁화의 유래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 놓았습니다.
작은 전시관이고, 사진과 글이 많지만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데요. 아이들과 함께라면 무궁화에 대한 좋은 교육이 되겠어요.


문화 속 무궁화
▲ 문화 속 무궁화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무궁화 나무를 심는 것조차 강력하게 단속했다고 합니다. 홍천 보리울에서 낭궁억 선생은 일제에 맞서 무궁화 묘목 30만 그루를 전국에 보급해서,나라 잃은 민족에게 나라를 되찾는 의지를 갖게 했다는 것은 익히 널리 알려진 이야기지요.
무궁화는 꽃말이 '일편단심', '은근', '끈기'입니다. 당시의 우리 국민에게 절실한 내용이었지요.


일제의 무궁화 말살 정책
▲ 일제의 무궁화 말살 정책



남궁 억 선생의 무궁화 보급 운동
▲ 남궁 억 선생의 무궁화 보급 운동


우리가 어릴 때부터 가장 많이 했던 놀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의 한 장면이 벽화로 그려져 있고, 놀이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귀에 담는 무궁화 코너에서는 무궁화와 관련된 노래를 들을 수도 있습니다.


놀이 문화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놀이 문화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곳에서 가장 궁금했던 것은 무궁화 꽃의 종류였는데요. 전시관까지 올라오는 동안 여러 종류의 무궁화 꽃을 보았기 때문이지요. 전 세계의 무궁화는 250여 정도의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200여 정도의 무궁화가 있다고 합니다. 크게 나누자면 모두 하얀색인 배달계, 중심에 붉은 무늬가 있는 단심계, 붉은 무늬가 가장자리에 있는 아사달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 다시 홑꽃과 겹꽃, 반겹꽃 등으로 나눠진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사랑을 받는 것은 '백색 단심 무궁화'인데요. 하얀색의 잎과 가장자리의 붉은색 무늬가 선명한 꽃입니다. 하얀색은 백의 민족을, 중간의 붉은색 무늬는 일편단심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전시관 밖으로 나와서 무궁화 수목원 안내도를 보면서 수목원을 감상하였습니다. 생각보다 훨씬 넓은 면적에 펼쳐져 있는데요. 작은 부분은 여전히 수목원 조성이 진행 중입니다.


무궁화 전시관 안내도
▲ 무궁화 수목원 안내도

무궁화 수목원 야외 전시관
▲ 무궁화 수목원 야외 전시관


산 중턱에 하얀 건물이 보여서 올라가 보니 온실이 있네요. 열대성 수목을 전시하고 있는데요. 온실 천장에 닿을 만큼 울창한 열대의 숲이 펼쳐져 있습니다.


무궁화 수목원 온실
▲ 무궁화 수목원 온실



무궁화 수목원 온실 내부
▲ 무궁화 수목원 온실 내부


대형 무당벌레 조형물 아래로는 선인장류와 작은 다육식물들이 자라고 있는데요. 평소에 본 적도 있지만 이름을 몰랐는데, 이렇게 이름표를 만들어 놓아서 확인할 수 있으니까 좋네요.


무궁화 수목원 온실의 다육 식물
▲ 무궁화 수목원 온실의 다육 식물


보령 무궁화 수목원은 가족들의 나들이 코스로 좋습니다. 더운 여름이 지나고 나니 제법 시원해져서 아이들이 있는 가족들은 나들이 코스로 추천합니다. 나라꽃 무궁화에 대해서도 알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도 고취시킬 수 있을 거예요. 온실에서 열대의 식물을 감상하는 건 서비스가 되겠습니다.



보령 무궁화 수목원
찾아가는 길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산로 318-57
문의전화 : 041-931-6092
개관시간 : 매일 09:00 ~ 18:00 (하절기)
                공휴일, 지정 공휴일, 월요일 휴무
http://www.mugunghwapark.com/
 

 

수운님의 다른 기사 보기

[수운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